여야, 언론문건 국정조사 합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여야는 29일 언론장악 문건을 한나라당 정형근(鄭亨根)의원에게 전달한 사람이 평화방송 이도준 기자로 밝혀진 것을 계기로 진상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를 실시키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국회 운영이 정상화돼 이날 오후부터 본회의 대정부질문이 재개됐다.

그러나 언론장악 문건의 실천 문제, 이종찬(李鍾贊.국민회의)부총재와 정형근 의원의 말 바꾸기 논란을 두고 여야가 날카롭게 맞서고 있는데다, 증인 선정의 의견차로 인해 국정조사에 정식으로 들어가기까지 진통이 불가피하다.

국민회의 박상천(朴相千).자민련 이긍규(李肯珪).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총무는 ' 여야 총무는 이날 회담을 갖고 국정조사에 합위한 뒤 조사시기.기간.증인채택 문제 등 세부사항에 대한 절충을 계속키로 했다.

◇ 국민회의〓고위 당직자 회의가 끝난 뒤 이영일 대변인은 "이도준 기자가 이종찬 부총재 사무실에서 문건을 취득, 복사본을 鄭의원에게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며 "이강래(李康來)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작성해 청와대에 전달했다는 鄭의원의 주장은 허황된 것임이 밝혀졌다" 고 주장했다.

李대변인은 따라서 "우리 당은 국정조사를 통해 관련된 모든 사실을 밝히기로 했다" 고 말했다. 국민회의는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와 鄭의원을 증인으로 채택키로 했다.

한편 李부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자신과 중앙일보 문일현(文日鉉)기자의 통화내역을 담은 녹취록 존재 여부에 대해 "그런 말을 한 적이 없으며 표현이 와전됐다 "고 해명했다.

◇ 한나라당〓이사철(李思哲)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이종찬 부총재가 이번 사건을 기자들의 해프닝 정도로 축소하려 하고 있다" 며 "아직도 국민과 야당을 속이고 기만할 수 있는 공작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고 비난했다.

장광근(張光根)부대변인은 "이 사건은 '이종찬 커넥션' 에 의해 자행된 언론 파괴 말살 공작" 이라고 주장한 뒤 "중앙일보 간부 전달설도 중앙일보와 한나라당을 연계시켜 흠집을 내기 위한 간교한 술수였다" 며 현 정권의 사과를 촉구했다.

◇ 이도준씨〓28일 자신이 鄭의원에게 문건을 전달했음을 밝힌 데 이어 이날 기자회견을 자청, "李부총재 사무실에서 문건을 복사했을 때 안기부나 청와대에서 작성한 것으로 확신했으며 鄭의원에게는 '이종찬-이강래 라인' 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는 말을 한 일이 있다" 고 말했다.

김진국.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