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여 합쳐야 산다' 민산 무너지자 與서 합당론 들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영삼 (金泳三) 전 대통령이 민주산악회 재건 시기를 총선 이후로 연기하자 여권 내부에 총선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사상 초유의 '2여1야' 구도로 내년 총선을 치를 경우 결과는 불보듯 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국민회의와 자민련간의 합당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일각에서는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김종필 (金鍾泌) 총리가 각각 통합 신당의 명예총재와 총재를 맡는 역할 분담론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다른 관계자도 "국민회의가 추진 중인 신당의 창당 시기를 내년초로 연기한 것은 자민련의 합류를 염두에 둔 것" 이라고 전했다.

자민련에서도 합당론자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나라당의 위협을 가장 심각하게 느끼는 TK (대구.경북) 지역 의원들은 물론 충청권 의원들 사이에서도 "이대로는 안되겠다" 는 불안감이 퍼져가고 있다.

박철언 (朴哲彦) 부총재는 "YS의 민산 재건 유보가 정치권에 오히려 새로운 변화의 촉진제가 될 것" 이라며 양당과 '플러스 알파' 세력.한나라당 일부까지를 포함하는 대통합의 필요성을 다시 제기했다.

그는 최근 金총리를 만나 자신의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양당간 합당 논의가 당장 급진전될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국민회의측이 자민련을 압박하는 모양새가 돼선 일을 그르친다는 판단 때문이다.

동교동계 한 핵심 의원은 "합당시 최대의 수혜자는 자민련과 JP라는 사실을 꾸준히 알려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국민회의가 추진 중인 신당 창당 작업이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는 점도 속도조절의 이유가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민회의는 합당 조건을 성숙시키기 위한 다양한 카드를 검토하고 있다.

도시에서는 중선거구, 농촌에선 소선거구를 채택하는 복합선거구제가 그 중 하나다.

소선거구제를 원하는 자민련 내 충청권 의원, 주로 중선거구제를 희망하는 TK 및 수도권 의원들을 두루 만족시켜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구도 속에서도 당선이 어려운 인사들은 정당명부식 비례대표로 흡수, 합당의 대열에 참여시킨다는 계획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는 한나라당의 당론인 소선거구제와도 친화력이 있는 제도" 라며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난관도 적지 않다.

JP가 깃발을 들어주어야 하는데 내각제 연내 개헌 유보 이후 자민련 의원들에 대한 장악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그를 통합신당의 간판으로 내세웠을 때 신당 참여자들이 반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하경.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