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추적] 소득공제 빠진 ‘장마저축’ 가입자들 부글부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보험대리점을 운영하는 안모씨는 26일 하루 종일 고객들의 문의전화에 시달려야 했다. 장기주택마련저축(장마저축)에 대한 소득공제가 폐지된다는데 기존 가입자는 어떻게 되느냐는 것이다. “소득공제 해준다는 말을 믿고 가입했는데 이럴 수 있느냐”는 항의도 많았다. 그는 “상품 약관에는 세금혜택 내용이 없지만 만기까지 소득공제가 된다는 걸 강조했다. 약속 위반으로 소송을 당할 수도 있는 심각한 일”이라며 우려했다.

장마저축 가입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25일 세제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장마저축에 대한 비과세를 3년 연장하는 대신 내년부터 기존 가입자들까지 소득공제를 안 해주기로 했기 때문이다.

장마저축은 장기 히트상품이었다. 7년 이상 가입하면 이자(배당)소득세를 면제해주고 300만원 한도에서 연간 납입금의 40%를 소득공제해주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은행과 증권사, 보험사에서 각각 저축·펀드·보험이란 이름을 붙여 팔지만 내용은 같다. 비과세와 소득공제를 동시에 받는 대표적인 절세상품이어서 분기당 300만원까지만 납입할 수 있는 적립형 상품인데도 총 가입액이 17조원에 이를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특히 소득공제 효과가 컸다. 예를 들어 연봉 4000만원의 직장인이 매달 50만원씩 납부하면 240만원의 소득공제를 받아 38만4000원의 세금을 덜 낸다. 반면 비과세 혜택은 4만6200원(이자율 연 5% 기준)에 그친다. 국민은행 수신상품부 정현호 팀장은 “비과세보다 소득공제 효과가 훨씬 크기 때문에 소득공제를 받는 직장인들의 가입비율이 월등히 많은 상품”이라고 소개했다.

그런데도 정부가 기존 가입자에 대한 소득공제까지 없애기로 한 것은 만기가 긴 장마저축의 특성 때문이다. 비과세를 받으려면 7년 이상 가입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 금융사마다 최소 7년, 길게는 50년 만기의 상품을 판매해왔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기존 가입자의 기득권을 인정하면 30~50년까지 소득공제를 해줘야 하는데 한시적 지원이라는 비과세·감면 취지에 맞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금융사들이 이 상품을 팔면서 가입자는 무조건 만기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해왔다는 점이다. 장마저축에 대한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은 원래 올래 말 일몰 규정에 걸려 없어질 예정이었다. 그래서 “올해 말까지 가입한 사람만 세금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빨리 가입하라”며 독려한 금융사도 많았다. 금융상품의 경우 일몰이 적용되어도 이미 가입한 사람들은 세금지원 혜택을 계속 받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실제 장기 주식형 펀드에 대한 소득공제도 올해 말이 일몰 시한이지만 이때까지 가입한 사람은 앞으로 3년간 소득공제를 받는다.

상품 조건이 바뀌었다고 마음대로 해지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소득공제를 받은 사람이 1년 이내에 해약하면 가입금의 8%, 5년 안에 해지할 경우 4%를 추징당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면제받은 이자(배당)소득세도 함께 추징된다. 지난해 국민은행에서 장마저축에 가입한 직장인 김모(45)씨는 “비과세 혜택을 고려해도 금리는 만족스럽지 않은 수준”이라며 “그래도 중간에 해지하면 추징당한다고 하니 속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불만에 찬 가입자들은 불복운동까지 벌일 태세다. 한국납세자연맹 김선태 회장은 “기존 가입자의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고 종전에 약속한 세금혜택을 뺏어가는 것은 위헌 소지가 있다”며 “국회에서 정부 원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운동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