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일본문화 공세적 대응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문화는 교류와 협력 속에서 발전한다.

막힌 물꼬를 갑자기 트면 초기엔 이상 과열현상이 생겨날 수 있지만 큰 흐름에서 볼 때 걱정할 일이 아니다.

두려워 할 일은 더욱 아니다.

정부가 발표한 일본 대중문화의 단계적 개방방침은 신중성과 적극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잘 정리된 대응방법이라고 평가한다.

일본문화 개방에 관한한 우리 국민들은 그동안 너무 겁을 먹고 있었다.

좋은 문화가 유입되면 종속될까 겁을 먹었고 나쁜 문화가 들어오면 오염을 걱정해 왔다.

이것이 잘못된 문화관념이다.

문화란 흐르게 마련이다.

고의로 막으면 막을수록 흐름은 왜곡되고 수요는 폭주한다.

대표적 사례가 일본 불량만화와 음란비디오다.

일본문화를 무조건 막으니 불량문화상품이 음성적으로 유입돼 흘러넘치는 결과를 초래했다.

막힌 물꼬를 트면 어떤 효과가 있는가.

좋은 문화는 적극 권장하고 나쁜 문화의 유입을 양국 정부의 협력 아래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식적 채널이 가동될 수 있다.

문화는 발신과 수신의 기능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

받아들이는 수용자세와 전달하는 발신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어야 문화의 일방적 종속화를 막을 수 있다.

그래야만 문화가 정상적으로 흘러간다.

이런 점에서 일본문화 개방에 맞춰 우리가 적극적으로 해야 할 일이 두가지다.

발신과 수신기능을 동시에 적극적 공세로 추진하자는 것이다.

일본 문화산업중 세계적 우위를 점하는 분야가 만화와 애니메이션이다.

우리보다 나은 분야에 대해선 막기에만 급급할 게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배우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

청소년들의 일본 유학을 적극 추진하자는 게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지난 방일 (訪日) 성과다.

청소년들이 집중적으로 일본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기술을 배워온다면 뒤진 분야를 만회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

배울 것은 보다 적극적으로 배우고 수용해야 문화의 불균형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맞춰 발신기능도 강화해야 한다.

한국 대중가요.영화.국악은 일본과 비슷하거나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분야다.

더 좋은 문화상품도 개발하면 얼마든지 있다.

이런 상품을 개발하고 알리는 문화발신 역할과 기능을 정부와 민간단체가 기획력을 살려 적극 추진해야 한다.

발신과 수신이 제 기능을 해야 양국간 상승적 문화협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문화교류와 협력은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문화관광부가 자평 (自評) 한대로 이번 개방조처는 '65년 체제' 를 넘어 '2002년 체제' 로 가는 미래지향적 문화정책이다.

여기에 걸맞게 수용할 것은 주저없이 수용하고 막을 것은 치밀하게 막으면서 줄 것은 과감하게 주는 공세적 문화 대응을 하기를 당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