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23> 소금장수 이야기 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내 유년시절의 소금장수와 장돌뱅이는 약장수였다. 수상쩍기는 했어도 만병통치약을 가지고 산골 장터까지 나타나는 약장수들은 옛날 소금장수와 다를 게 없었다. 더구나 낡은 바이올린이라 해도 신식 악기를 가지고 다녔기에 약장수 몸에서는 장꾼들과 다른 도회지 냄새가 났다. 그러던 어느 날 황혼 녘에 장꾼들에 섞여 마을로 흘러 들어온 한 약장수가 우리 집 바깥채에서 머물게 됐다. 다른 약장수와는 달리 그가 들고다니는 악기는 바이올린이 아니라 양철북이었다. “아저씨는 빠이롱 없어요?”(시골아이들은 ‘바이올린’을 그렇게 불렀다)라고 묻자 “왜 이 북이 어때서”라고 드럼을 두어 번 치고는 멋쩍게 웃었다. 약장수는 못 보던 상표의 껌을 주기도 하고 임꺽정 같은 이야기도 들려줬지만, 나는 집채만 한 전차가 길 위로 다닌다는 서울을 생각했다. 그러던 어느 날 아저씨는 툇마루에 북을 남겨둔 채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다.

어른들은 시국 이야기를 할 때마다 입에 손을 대고 쉬쉬했지만 어느새 약장수 소문은 마을 전체로 퍼져나갔다. 그는 약장수가 아니라 ‘이인’이라고 했다. 시골에서는 독립지사나 혁명가를 그렇게 불렀다. 나는 지금도 그것이 ‘이인(異人)’인지 ‘위인(偉人)’의 사투리인지 풀지 못하고 있다. 읍내에서 순사에게 잡혀가는 것을 직접 보았다는 사람도 있었고, 군자금을 구하러 온 독립군이라고 귀띔해 주는 사람도 있었다. 동경 유학을 한 사상가라고 말하는 사람은 그가 안경을 썼기 때문에 그렇게 말했을 것이며, 어느 갑부의 친척이라고 말한 사람은 아마 그의 금이빨을 보고 한 소리였을 것이다.

어쨌든 이런 이야기들로 잠자던 동네는 갑자기 소낙비를 만난 푸성귀 밭처럼 생기가 돌기 시작했고, 거기에 흥분까지 하게 된 것은 누군가 밀고자가 있었다는 소문 때문이었다. 처음엔 면서기와 노름빚을 진 사람들이 입에 오르내렸지만, 그 무렵 부쩍 싸움이 많아졌던 것을 보면 평소 눈을 흘기며 지내던 사람들을 입방아에 올렸던 것 같다.

그러다 감꽃이 지는 초여름 어느 날 갑자기 울리는 양철북 소리를 듣고 나는 “아저씨다!”라고 외치며 밖으로 뛰어나갔다. 하지만 약장수 북을 치고 있는 것은 동네 개구쟁이들이었다. 그 애들은 약장수가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것이라는 걸 알고 있었던 것이다. 신나게 치는 양철북 소리가 울릴 때마다 감꽃이 하나둘씩 떨어지고 있었고, 그 너머로 “왜 이 북이 어때서”라고 북을 몇 번 두드리다 멋쩍게 웃던 아저씨 얼굴을 떠올렸다. 그는 어쩌면 가짜 약을 팔러 다니는 사기꾼이었는지 모른다. 하지만 식민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그런 이인들의 이야기가 소금처럼 필요했던 것이다.

“눈을 뜨면 그때는 대낮이리라”고 한 시구가 떠오른다. 내가 눈을 떴을 때 이미 그 아이는 식민지의 대낮 속에 있었다. 신문이나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정보가 채마밭에서 가꾼 무·배추라면, 약장수와 소금장수 이야기는 야생의 잡초 사이에서 캐낸 나물과도 같은 것이었다. 읍내에는 이미 일본 집 가게가 있었고 누나와 형은 학교에서 일본말을 배우고 있었으니 애라도 그걸 모를 리 없다. 그런데도 남의 양철북을 치고 다니던 애들에 대한 미움 이상의 분노가, 약장수 아저씨에 대한 연민이나 슬픔 이상의 외로움이 어디에서 오고 있는지를 그때야 비로소 느낄 수 있었다.

소금장수는 늘 밤길을 헤매다가 여우에게 속는다. 불빛이 반짝거려도 절대 오두막집 문을 두드리지 마라, 아무리 울음소리가 처량해도 색시(靑孀)의 손을 잡아서는 안 된다…. 늘 내 마음을 졸이고 나서야 소금장수는 번번이 죽을 고비를 넘기고 도망친다. 그 이야기를 입 밖에 내면 약장수 아저씨가 정말 구미호에게 간을 파먹힐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이었을까. 30년이 지난 뒤에야 나는 자전적 에세이 『하나의 나뭇잎이 흔들릴 때』에 그때 이야기를 글로 쓸 수 있었다. 분명한 것은 그날부터 김삿갓과 소금장수와 장돌뱅이와 그리고 약장수들은 우리 곁을 떠나고 있었고, 내 이야기의 공간도 점점 좁아 들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 다음 회는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입니다.

이어령


[연재]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23> 소금장수 이야기 ② 약장수는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22> 소금장수 이야기 ① 삿갓이 만들어내는 이야기 나라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21> 달래 마늘의 향기 ⑤ 우리 아버지들은 어디로 갔나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20> 달래 마늘의 향기 ④ 바람과 물로 지은 강변의 집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9> 달래 마늘의 향기 ③ 나물 바구니 속의 격물치지 사상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8> 달래 마늘의 향기 ② ‘달래 마늘처럼 피어오른 채집시대의 노래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7> 달래 마늘의 향기 ① ‘나들이’ 길에서부터 시작되는 한국인 삶

령의 한국인 이야기 <16> 세 살 때 버릇 여든까지 ⑤ 배꼽을 달고 날아가는 방법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5> 세 살 때 버릇 여든까지 ④ 너희들이 물불을 아느냐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4> 세 살 때 버릇 여든까지 ③ 유아 언어 속에 담긴 힘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3> 세 살 때 버릇 여든까지 ② 모든 것은 셋으로부터 시작된다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2> 세 살 때 버릇 여든까지 ① 공자님만 알았던 세 살의 의미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1> 돌상 앞의 한국인 ⑤ 돌잡이는 꿈잡이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0> 돌상 앞의 한국인 ④ 어머니 어깨너머로 본 세상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9> 돌상 앞의 한국인 ③ 따로 서는 아이와 보행기 위의 아이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8> 돌상 앞의 한국인 ② 기저귀로부터 오는 문화유전자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7> 돌상 앞의 한국인 ① 나를 지켜준 시간의 네 기둥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6> 탄생의 비밀 (끝) '만인의 친구' 미키마우스는 배꼽이 없다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5> 탄생의 비밀 ⑤ 한국인은 한 살 때 태어난다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4> 탄생의 비밀 ④ 왜 울며 태어났을까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3> 탄생의 비밀 ③ 어머니 몸 안에 바다가 있었네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2> 탄생의 비밀 ② 쑥쑥이는 외계인이 아니다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1> 탄생의 비밀 ① 산불과 비숍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나는 왜 지금 ‘한국인 이야기’를 쓰려고 하는가"

☞ '이어령의 한국인 이야기' 섹션 바로가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