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초점]김대중 총재 비자금 폭로관련 고래싸움에 등터진 금융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회 재경위는 10일 김대중 국민회의총재의 비자금설을 둘러싸고 이틀째 격전장이 됐다.

은행감독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신한국당과 국민회의는 공방의 제3자격인 금융권을 소속당에 유리하게 활용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양측의 논점은 출발부터가 달랐다.

우선 국민회의 의원들은 '강삼재총장이 폭로한 자료는 은행감독원등 금융권의 협조 없이는 입수할 수 없다' 는 전제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은행감독원이 자료유출 경로를 밝히기 위한 조사에 나설 것을 집요하게 촉구했다.

姜총장의 폭로 자체가 금융실명거래법 위반이란 결론을 끌어내기 위해서다.

자연 질의의 초점은 금융거래 자료의 불법 유출에 집중됐다.

국민회의 장성원 (張誠源) 의원은 상업은행 정지태 (鄭之兌) 행장을 상대로 "어떻게 상업은행 내부 자료가 姜총장에게 유출됐느냐" 고 따졌다.

이상수 (李相洙).정세균 (丁世均) 의원등은 "은감원과 시중은행은 즉각 자료 유출경로의 조사에 나서라" 고 촉구했다.

반면 신한국당 의원들은 폭로내용의 사실관계 입증에 주력했다.

이명박 (李明博) 의원은 "金총재의 조카인 이형택 동화은행 영업1본부장이 실명제 위반으로 감봉조치 당한 전력이 있다" 고도 지적했다.

김재천 (金在千) 의원은 "姜총장은 구체적인 계좌번호까지 제시했다" 며 "은감원은 해당 계좌의 유무를 확인하는 특별검사에 착수하라" 고 요구했다.

국민회의가 '불법 유출' 을 조사하라는 요구에 치중했다면 신한국당은 '사실관계 확인' 에 무게중심을 두었다는게 이날 비자금 공방의 초점이었다.

그러다보니 국감장은 신한국당과 국민회의간의 공방보다 양측이 함께 은행감독원과 시중은행을 다그치는 형태가 됐다.

소속당의 이해를 앞세운 의원들의 추궁에 이수휴 (李秀烋) 은행감독원장은 "구체적인 자료가 입수되는대로 대처방안을 정하겠다" 는 답변으로 여운을 남겼다.

전날 중립입장을 견지했던 자민련의원들도 이날은 국민회의측을 측면 지원했다.

어준선 (漁浚善) 의원등은 "금융자료가 외부에 유출된 것은 명백히 문제가 있다" 면서 姜총장의 자료입수 경위에 의혹을 제기했다.

박승희·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