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금융주 이대로 폭락하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왜 금융주가가 폭락하고 있는지 모르는 사람은 적다.

금융기관의 채권 가운데 부실은 계속 발생하는데 그 부실을 처리하는 방도는 꽉 막혀 있기 때문이다.

부실기업을 순리대로 정리하는 절차와 방법을 일찍이 시장에 설치해 맡겨놓지 못했던 결과 금융기관들은 그 종말하치장이 되고 말았다.

그 바람에 한국의 모든 금융기관이 최악의 부실 기업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부실채권이 발생하는 이유는 채무 기업의 경영 실패에 있다.

경제 전체 환경이 나빠졌기 때문에 경영실패가 발생한다는 측면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개별 기업의 성패에 관한 책임은 어떤 경우에라도 경영진이 전적으로 져야 한다.

이 점에서는 금융기관 경영 실패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금융주의 폭락이 더 진전되다가는 한국의 금융결제 능력이 그 밑으로 추락할 수밖에 없는 낭떠러지 앞에 곧 서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금융주를 투매하고 있다.

이것은 외국 신용평가 기관들이 우리나라 은행들의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하고 있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주식을 투매하는 것과 앞서거니 뒤서거니 외국금융기관들은 우리나라 금융기관에 대한 신용 공여를 조이고 있다.

특히 은행주는 군소주주들이 그 안정성의 매력 때문에 많이 보유하는 종목이다.

이들은 은행의 예금주들이기도 하다.

그런 은행주가 액면가 이하까지 떨어지면서 주주로서의 실망보다는 예금주로서의 불안에 더 심각하게 빠지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우리나라와 같은 무역국의 금융기관이 외국금융기관으로부터는 차입을 거절당하고 국내 자금 공급원인 예금주로부터는 예금을 기피당하는 일이 목전에 벌어지려 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금융주 폭락에 담긴 뜻이다.

더 캐고 올라가면 부실기업 처리에 아무 손도 쓰지 못하고 있는데서 초래된 결과다.

금융기관의 더 이상의 부실화는 지금 당장 막아야 한다.

가장 급한 것은 부실기업을 공매하는 방안을 채권은행과 정부가 힘을 합해 마련해야 한다는 점이다.

금융주가의 폭락은 이 일을 재촉하는 경보 사이렌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