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시조백일장]심사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여름임에도 불구하고 이번 달 역시 응모작이 꽤 많았다.

들어온 작품들을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때 형식을 잘 알고 쓴 작품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대변된다.

분명히 '시조' 지상백일장임에도 기본적인 인식의 부족으로 시적 감성은 엿보이나 시조와는 거리가 먼 작품들이 많아 아쉬움으로 남는다.

투고자들은 이 점을 각별히 유의해 주었으면 한다.

최범환씨의 '북간도에서' 를 장원으로 가렸다.

비교적 긴 네수의 작품인데 주제가 잘 형성화되었고, 전체적으로 잘 짜여진 점이 눈에 띄었다.

이 분은 지금 중국 텐진 (天津) 시에서 근무중인데, 그곳에서 생활하면서 느낀 감회를 조국애와 접목시켜 꽤 깊이 있게 다루고 있는 점이 그 역량을 짐작케 한다.

차상으로 뽑은 김태희씨의 '이천 참외' 는 퍽 재미있다.

아주 자연스럽고 깔끔하며 재치가 넘친다.

그리고 농민들의 진솔한 삶의 모습이 짤막한 시조 속에 잘 녹아 있다.

차하인 임석씨의 '소싸움' 은 작품에 힘이 실려있다.

주제에 걸맞는 힘찬 표현들이 살아 꿈틀거린다.

그러나 군데군데 적절하지 못한 시어들이 눈에 띄는데 특히 마지막 수 종장의 마무리가 약했다.

그 밖에 입선작 김세연씨의 '장미' 는 여성의 시각으로 장미의 생태를 노래했는데 좀더 다듬어지고 생각을 더 깊이 했으면 한다.

고윤석씨의 '환경미화' 는 전체적으로 깔끔하지만 작품의 배경이 다소 애매한 점이 흠이다.

전미애씨의 '노을' 은 '저렇게 붉은 빛으로 엉키어 사나보다.

' 라는 표현이 생생하다.

응모자들은 너무 거창한 주제를 택하기 보다는 사물이나 삶속의 미세한 세계에 대해 깊이 있게 천착해 들어가 새로운 시각의 시조작품을 많이 빚었으면 한다.

〈심사위원 : 박시교.이정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