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부드러운 이름 찾아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국립서울박물관?, 국립한국박물관?' 용산 시대를 앞둔 국립중앙박물관이 새로운 작명 때문에 고민에 빠졌다. 1972년 이후 사용해온 '국립중앙박물관'이라는 표현이 권위적이고 지방화시대에 맞지 않는다며 이전을 계기로 고쳐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다. 문화관광부 담당자는 "얼마전 장관 주재회의에서도 이 지적이 제기돼 현재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 단계"라고 밝혔다.


내년 10월 개관예정인 용산 새 중앙박물관 건물.

중앙박물관도 최근 직원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명칭을 제안받는 등 자체 검토에 나섰다. 그러나 문제는 대안이 쉽지 않다는 것. 중앙박물관 서성갑 사무국장은 "내부에서는 '한국박물관','서울박물관'등 여러 제안이 나왔지만 딱히 이거다 싶은 것은 없다"고 말했다. 즉 '서울박물관'은 지방화시대에는 맞지만 11개 지방 국립박물관을 관할하고 있는 중앙박물관의 위상에 맞지 않다는 설명이다.

반대로 '한국박물관'은 한국의 모든 것을 담고 있는 박물관이라는 뜻으로 읽혀 '보자기'의 크기가 너무 크다는 것이다. 다른 나라의 사례도 각양각색이다. 중국은 중앙박물관격으로 베이징에 '국가박물관'을 두고 있으며, 일본은 다른 표시 없이 '도쿄국립박물관'식으로 지역명칭만 쓰고 있다. 현재로서 작명 변경은 적합한 대안이 나오더라도 이를 확정하려면 간단치 않은 작업이 필수다. 국가기관인 만큼 법령 개정이 뒤따라야 하고 로고 등 통합이미지도 바꿔야 한다.

또 국립중앙도서관.국립중앙과학관 등 '중앙'이란 명칭을 쓰고 있는 다른 기관들에도 파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이 '탈권위'홍역을 치르게 된 것은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 문화정책에도 '분권화','지방화'가 화두로 등장하면서다. 당초 넓은 광장과 거대한 연못.기둥을 중심으로 설계된 새 박물관의 야외 조경은 '딱딱하고 권위적'이라는 이유로 '아기자기'한 한국식 정원으로 대폭 수정됐다. 이같은 흐름은 조직개편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기존의 사무국.학예연구실과는 별도로 문화사업국을 신설해 홍보.교육 등 대국민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