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수출, 틈새를 뚫어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베트남은 환경, 인도네시아는 이동통신, 말레이시아는 중장비, 태국은 철강. KOTRA가 9일 발표한 ‘아세안 주요국의 금융위기 대응시책’ 보고서에서 꼽은 나라별 틈새시장이다. 이들 아세안 국가는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의 여파로 대규모 프로젝트가 철회되거나(베트남), 비관세 장벽이 강화되는(인도네시아) 등 수출 여건이 급격히 악화됐다. 하지만 나라별로 경기부양책을 쓰고 있기 때문에 한국 수출기업은 이 틈새를 잘 파고들어야 한다.

KOTRA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는 환경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환경오염 유발 업체에 강력한 조치를 취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환경오염 방지나 폐기물 처리시설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는 정부가 이동통신 분야에 대한 장려 정책을 펴는 중. 중계기나 전파감시 통제장비에 대한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전기요금 인상에 따라 에너지 절약형 제품도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말레이시아는 기중기·운송크레인·굴착기 등 중장비류에 대한 수입면허제도가 지난달 폐지돼 한국 제품의 수출이 유리해질 전망이다. 태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내년에 3억5000만 달러를 들여 철로 연장 등 교통 인프라 확충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따라 철강·건축용 기자재의 수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