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ve Earth Save Us] ‘청정 일자리’ 늘려 경제 살리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1930년대 미국 루스벨트 대통령이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해 펼친 ‘뉴딜 정책’처럼 최근의 금융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가 경제 살리기에 적극 개입하는 모습이다. ‘그린 뉴딜’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에너지 효율화에 대한 투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힘 슈타이너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은 지난달 22일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자연자본에 재투자한다면 청정기술·청정에너지 분야에서 엄청난 경제·사회·환경적 편익을 거둘 것”이라며 각국 정부에 그린 뉴딜을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UNEP의 ‘녹색 일자리(Green Job)’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230만 명 수준인 세계 신재생에너지 분야 종사자는 2030년 태양광 발전 630만 명을 포함해 20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도 ‘녹색성장’에 나섰다. 박재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비서관은 5일 ‘제6차 미래한국리포트’ 발표회에서 “내년 중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효율 향상, 청정 연료 등에 정부와 민간이 8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남표 KAIST 총장이 이끄는 신성장동력기획단은 지식·혁신 주도형 녹색성장 모델을 추진하면 5년 동안 일자리가 88만 개 생겨날 것으로 내다봤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미국이 중동의 석유에 의존하는 데서 독립할 수 있도록 10년간 1500억 달러(약 180조원)를 친환경 에너지 개발에 투자해 50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공약했다. 영국은 최근 2020년까지 7000개의 연근해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해 1000억 달러를 대고, 16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각국이 시장 선점을 위해 ‘그린 뉴딜’에 뛰어들면서 ‘녹색 경주(Green Race)’가 벌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중앙대 김정인 교수는 “선진국을 무조건 따라갈 것이 아니라 폐목재나 폐기물 매립가스에서 에너지를 얻는 것처럼 한국이 경쟁력을 갖춘 분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찬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