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내생각은…

‘저CO2 녹색성장’ 엔진은 친환경 물류체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에 대비하여 주요 선진 국가들은 1992년 ‘기후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이어 97년에는 교토의정서를 채택하는 등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고 이산화탄소, 프레온가스 등 대기 오염물질 배출을 2021년까지 일정량 감축토록 합의했다.

정부가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를 바탕으로 신성장 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저이산화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60년의 비전으로 제시한 것도 세계 추세에 발맞춘 행보라 할 수 있다.

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를 넘는 에너지 위기를 맞아 녹색물류체계(Green Logistics)의 구축은 더욱 절실해졌다. 이를 통해 한국은 세계 3대 경제권으로 대두되고 있는 동북아 물류권의 차세대 중심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산업경쟁력은 물론 국가경쟁력 제고라는 시너지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녹색물류 체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녹색물류 체계를 통하여 친환경적 수송과 경제적 이익 실현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확신이 필요하다. 둘째, 정부는 이와 관련된 신기술 연구개발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셋째, 화석연료 중심의 도로 수송에서 철도와 수운 수송을 강화하는 그린물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전담 행정부서의 지정과 구체적 예산 대책의 마련이다. 다섯째, 국제적 환경규제 정책에 부합하는 물류기준 설정과 관련 법규의 재정비가 요청된다. 특히 동일 품목이라도 생산업체가 다르면 각기 다른 회수과정을 거치는 비효율적이고 개별적인 회수물류 체계를 표준화하는 기술 구축이 시급하다.

끝으로, 남북 경제공동체를 대비한 남북 및 동북아 물류 호환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남북철도(경의선, 동해선)가 완공되면 철의 실크로드와 연계하여 한반도는 21세기 교통 물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다. 남북 간 수송 물류비는 현재의 5 분의 1 수준으로 절감되고, 한반도~유럽 수송기간도 크게 단축된다.

녹색물류 체계는 이처럼 ‘저이산화탄소 녹색성장’의 핵심 요소다. 유류 소비와 대기오염을 가중시키는 기존 물류 시스템을 벗어나 수송 경쟁력과 환경보전을 가능케 하는 신(新)물류 산업으로의 인식 전환이 절실하다.

강승필 서울대 교수·대중교통포럼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