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영준의 외교 이야기] “무시하거나 호의 거절해 망신 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독도 영유권 명기에 대한 항의로 일시 귀국한 권철현 주일 대사의 체류가 3일로 만 20일을 넘겨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 과거에도 세 차례 주일 대사의 일시 귀국이 있었지만 모두 열흘 안에 복귀했다. 권 대사의 일시 귀국은 사실상의 소환이다. 하지만 소환은 공관 폐쇄와 단교 다음의 초강력 수단이어서 ‘업무 협의차 일시 귀국’이란 표현을 쓰는 게 관례다. 정부가 공식 소환 조치를 한 건 1995년 외교문서를 변조한 주뉴질랜드 대사관 직원의 난민 신청을 뉴질랜드 정부가 접수한 데 대한 항의로 이동익 대사를 불러들인 게 유일하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외교적 항의 수단은 성명 발표다. 외교관이 직접 주재국 정부를 항의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 더 강력한 수단은 상대국 대사를 외교통상부로 불러들이는 초치(招致)다. 대사 초치 역시 주한 일본대사가 단골손님이다. 그만큼 과거사나 독도 문제로 외교 갈등을 빚은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올 4월 서울에서의 올림픽 성화 봉송 도중 빚어진 중국인 폭력 사태 때는 중국이 ‘선수’를 쳐 우리 정부의 김을 뺐다. 외교부는 사건 발생 다음 날 닝푸쿠이(寧賦魁) 주중 대사를 초치할 작정이었다. 그런데 닝 대사가 먼저 외교부를 찾아와 “어제 성화 봉송에 잘 협조해 줘 고맙다”며 사의 표시를 해 오는 바람에 정부의 항의가 무색해졌다. 그 뒤 이용준 외교부 차관보가 아예 중국을 찾아가 중국 외교부의 공식 유감 표명을 받아 내긴 했지만 한동안 중국 측이 “우리가 뭘 그렇게 잘못했느냐”고 버텨 진땀을 뺐었다.

상대방을 무시하거나 호의를 거절해 망신을 주는 항의 전술도 있다. 지난달 2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세안+3’ 외교장관 회의장에서 유명환 장관은 바로 옆자리에 앉은 고무라 마사히코(高村正彦) 일본 외상과 대화는커녕 악수조차 나누지 않았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외상이 말을 걸어오긴 했는데 대꾸하지 않았다”며 “사전에 작심한 것”이라고 말했다. 기념사진 촬영 때는 ‘다행히도’ 의장이 유 장관과 고무라 외상 사이에 서 어색하게 손을 잡아야 하는 장면을 피해 갈 수 있었다.

평소 친분이 깊은 외교관들끼리 항의의 뜻을 전달하는 건 곤혹스러운 일이다. 한 전직 고위 외교관은 “서로 쳐다보기 민망해 항의문을 교과서 읽듯 한 뒤 한동안 딴 곳을 보며 침묵하다가 헤어진 경우가 있었다”며 “접견실 바깥에 기자들이 있어 금세 일어날 수도 없었다”고 회고했다. 이럴 때 엄숙하고 진지한 표정을 짓는 것은 외교관의 기본이다. 적어도 카메라가 있는 곳에선 그렇다. 그래서 “직급이 높아질수록 연기력도 갖춰야 한다”는 말에 외교관들은 동의한다.

예영준 기자

[J-HOT]

▶'우왕좌왕' 확 달라진 촛불시위대…왜?

▶"의경아들 시위대에 죽었는데 12년 지나도록…"

▶잘나가던 도요타 비상…현대·기아는 잘나가네

▶"홍준표, '피해자' 李대통령과 상의도 없이…공 가져가"

▶서태지 "한국서는 집밖에 걸어 다녀 본 적이 없다"

▶세계 지존 '우뚝' 신지애 "마지막 홀서 너무 떨려 눈물 날 뻔"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