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일기>서울大에 내려진 '함구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정말로 두가지 답에 대해 똑같은 점수를 주느냐.』『재시험봐야 되는 것 아니냐.』 서울대 교수.직원들은 누구나 요즈음 학부모들의 이같은 문의와 원성이 섞인 전화에 시달린다.답변은 으레『불이익이 없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구수정과 두가지 정답인정,유사문제 의혹등 입시사상 유례없는곤욕을 치른 서울대는 그러나 출제와 채점등 입시와 관련된 다른쓸데 없는 이야기는 하지 말도록 교직원에게「함구령」을 내렸다.
학교 당국은 출제.채점위원들에게 토론과정중 논의됐던 사안들에대해 언급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
출제.채점과정에서 언급했던 말들이 언론에 나가면「생각지 못한또다른 파문」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우려때문인 것같다.
교수들은 이에 따라 집으로 오는 전화도 직접 받지 못하고 기자들의 전화일 경우「부재중」으로 일관하고 있다.
일부 교수들은 입시문제의 민감성 때문에 학교측의 철저한 보완원칙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하지만 의혹에 둘러싸인 은닉보다 공개를 통해 공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수들은 문구수정으로 문제가 된 수학문제에 대해『타당하게 해석하고 올바로 풀었다면 불이익은 없다』는 원칙론만고집하는 학교측의 태도에 대해 불만이다.
이들은『출제.시험관리.채점등에서 학교측이 미흡한 관리로 실수했다는 것을 인정해야 옳았다』며『입시등 민감한 사안일수록 원칙을 공개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차제에 매년 본고사에 임박해 출제위원회를 급조하는등 법석 을 떨게 아니라 유사문제의 출제,문제 지문의 표현 미숙을 막기 위해서라도문제은행제도를 도입해야 한다.이것이 입시 관리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방법의 지름길중 하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