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전국 가스보급網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대형참사를 몰고온 대구 지하철 가스폭발사고는 공사현장 안전관리 체계의 문제점을 다시 한번 일깨워 준다.
가스 관련사고의 60%이상이 자체 관리 소홀보다는 다른 건설공사등으로 인해 발생(가스안전공사의 94년 조사 결과)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비책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물론 현행 도시가스 안전관리 규정에는「건설공사자는 공사지역의 가스배관망등을 반드시 가스안전공사등으로부터 확인하고 순회점검을 받아야 한다」고 돼있다.
그러나 이를 어겼을 경우에 대한 벌칙 규정등은 거의 미미한 실정이다.
게다가 안전관리 자체가 주로 영세한 도급업체에 맡겨져 있을 뿐 아니라 공사장 현장 인부들에 대한 안전관리 교육도 제대로 돼있지 않아 현실적으로 사고의 가능성이 항상 우리 주변에 상존하고 있다.
특히 지하철은 인구밀집지역 가까운 곳에 만들어지기 때문에 공사 도중 아주 조심하지 않으면 도시가스.상수도.전기.통신등 주요 안전관리 대상시설을 건드리기 쉽다는 점에서 더욱 철저한 종합안전관리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 에 따라 특히 도심지역을 통과하는 토목공사 등에 대해서는이들을 관할할 종합안전관리기구를 설치하는 등의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
이 와 함께 이번 대구 도시가스 폭발사고는 전국의 도시가스 공급량의 20~30%를 액화석유가스(LPG)로 공급하는 우리나라 도시가스의 공급체계에도 적잖은 책임이 있다.LPG가 액화천연가스(LNG)보다 폭발의 위험이 더 크기 때문이 다.
현재 우리나라의 도시가스 공급체계는 이원화(二元化)돼 있다.
대전 이북의 서울.경기.충남북 일부지역은 평택인수기지에서 연결된 배관망을 통해 LNG를 공급받고 있다.
나머지 지역은 유공가스와 호유에너지등 2개 수입업체로부터 20개 도시가스회사가 LPG를 공급받아 LPG를 공기와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 뒤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다.대구도 LPG 보급지역이다.
정부는 현재 총연장 5백㎞인 LNG주배관망을 오는 99년까지1천8백㎞로 확장,수도권과 충청권 이외의 지방 도시가스회사들이보유한 배관망과 연결시켜 LNG공급을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그러나 이번 사고는 이 계획을 가속화 시킬 수 계기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또 시설 확충 못지않게 배관망 시설등 가스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관리대책도 함께 마련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李鎔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