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 논란’ 이춘호·남주홍·박미석 공통점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통합민주당의 혹독한 검증 공격을 받고 있는 ‘이명박 대통령의 사람들’ 사이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여성부 장관 후보자였다 부동산 논란으로 사퇴한 이춘호씨나, 남주홍 통일부 장관 후보자, 박미석 청와대 사회정책수석 모두 인선 작업 막바지에 새롭게 떠올라 임명된 사람들이라는 것이다.

논문 표절 논란에 휩싸여 있는 박미석 수석의 경우 당초 사회정책수석으로 유력했던 박재완 의원이 인선난을 겪던 정무수석으로 이동하면서 막판에 발탁된 케이스다. 수석 임명을 받기 전날인 지난 9일 밤 늦게까지도 이 대통령 측근들 사이에선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명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신중론이 꼬리를 물었었다.

부동산 과다 보유 및 투기 의혹을 받아오다 대통령 취임 하루 전인 24일 자진 사퇴한 이춘호 전 여성부 장관 후보자와 부인과 자녀 국적, 부동산 문제로 야당의 공격을 받고 있는 남주홍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정부조직법 개정 협상 타결로 되살아난 부처들의 수장 낙점을 뒤늦게 받았다. 역시 부동산 관련 의혹을 받고 있는 박은경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여성 인재풀이 부족한 이 대통령이 여성몫 장관을 구하기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해 발탁한 케이스다.

그래서 일찌감치 장관 물망에 올라 오랜 검증을 받은 사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검증 기간이 짧아 내용도 부실할 수밖에 없지 않았겠느냐는 해석이 제기되는 것이다. 성별이나 출신 지역 등의 균형을 억지로 맞추려다 보니 당초 표방했던 철통 검증에 구멍이 생겼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인선 작업에 관여해온 한 관계자는 “논란에 휩싸인 장관 후보자나 수석의 경우 언론에 부각이 되지 않았을 뿐이지 내부적으로는 오랫동안 후보군에 포함돼온 인물들로, 허겁지겁 인사를 한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부동산이나 논문 등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엔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청와대가 내부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장관 후보자, 수석에 대한 재검증에 대해 이동관 대변인은 “다시 검증해 탈락시킨다는 것보다는 문제가 있다는 언론의 지적에 대해 다시 한번 더 들여다보는 차원으로 이해해 달라”고 선을 그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사퇴한 이춘호 전 장관 후보자 외에 국회 인사청문회 이전에 추가로 자진 사퇴하는 인사는 없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서승욱 기자

[J-HOT]

▶ '고소영' '강부자'에 한나라 내부서도 '공개비판'

▶ '마음 쏙 드는 국정원장 없네…' 李대통령 속태워

▶ "유인촌, 7억 환차익·12억 재산신고 누락" 주장

▶ 류유익 "부족한 부분 덮어줘야" 孫 "담요 큰 걸로…"

▶ 한나라 "李대통령 첫 발자국도 못 떼게 발목"

▶ 中언론 "MB 747야망 중국에 달렸다"…취임식날 왜

▶ "한국보다 일본 사람들이 더 MB 좋아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