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의 기쁨 <49> 명사들의 연인 ‘동 페리뇽’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49호 35면

정말이지, 이처럼 뛰어난 품질을 뽐내면서 이처럼 부당한 대우를 받는 와인도 흔치 않다. 세계의 명사들이 사랑하는 샴페인 ‘동 페리뇽’ 얘기다.

한국은 사정이 다를지 모르지만 일본에서는 이 와인을 ‘동페리’로 줄여서 부른다. 거품경제 절정기에 도쿄의 중심가인 긴자(銀座)의 바에서 땅이나 주식으로 벼락부자가 된 사람들이 ‘펑, 펑’ 마개를 따는 바람에 급격히 대중적인 술이 되고 말았다. 여기에는 생산자인 ‘모에 에 샹동’이 과수요에 장단 맞춰 생산량을 늘린 것도 한몫했다. 이 보다 10여 년 전쯤만 해도 귀한 술이었던 동 페리뇽은 그 뒤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시중에 넘쳐났고 급기야는 수퍼나 할인 주류 판매점에서도 살 수 있는 술이 됐다.

더욱 불행한 것은 거품시대에 이름을 알린 탓에 ‘호스트 클럽 샴페인’의 대명사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TV 드라마를 보면 호스트가 손님의 주문을 받아 “동 페리뇽 나왔습니다~!”라고 외치며 신나게 마개를 따는 장면이 등장한다. 호스트 클럽에서는 동 페리뇽 로제(핑크빛 와인)를 ‘핑동’이라고 부르며 병당 10만 엔이 넘는 가격에 내놓는다고 한다. 생산량도 적고 보석처럼 귀한 이 환상적인 로제를 그같이 경박한 이름으로 부르는 것 자체가 놀랍기 그지없다.

이런 사정으로 샴페인 애호가이면서도 동 페리뇽을 꺼리는 사람이 적지 않다. 나 역시 지난해 파리에서 마시기 전까지는 그다지 흥미가 없었다. 그런데 무슈 스도가 주최한 와인 모임에서 1978년산을 마셔 보고 그동안의 편견이 말끔히 사라져 버렸다. 이 오래된 술은 환상적이었다. 3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음에도 기포는 여전히 아름답게 남아 있으며 입 안에서는 복잡하지만 기품 있는 맛이 났다. “어때요, 근사하죠? 역시 동 페리뇽이에요”라고 무슈가 말했다. 프랑스에서 이 와인은 예나 지금이나 명사들의 음료수다. 동 페리뇽에서 호스트 클럽을 연상하는 사람은 프랑스엔 없다.

동 페리뇽은 16세기 베네딕트파(派) 수도사의 이름이다. 우연의 산물이지만 ‘병 속에서 일어나는 2차 발효’를 발견한 인물이다. 그때까지 샴페인은 비발포성 스틸 와인이었는데, 그의 대발견 덕분에 현재의 발포성 와인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그 뒤 세계 최대의 샴페인 회사 ‘모에 에 샹동’이 동 페리뇽 수도사가 거처한 수도원 터를 사들여 공장을 세웠다. 동 페리뇽은 ‘모에 에 샹동’ 소유 특급 밭 중에서도 수령(樹齡)이 가장 오래되고, 가장 볕이 잘 드는 곳에서 거둬들인 포도로 만든다.

1978년산을 마신 뒤로 동 페리뇽의 팬이 되어버린 나는 올해 정월 1999년산을 사서 마셨다. 젊지만 단정한 기포와 기품 넘치는 술의 질, 산과 과일 맛의 멋들어진 밸런스는 ‘동페리’라는 약칭으로 불리기에는 아까운 최고의 와인이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