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공무원의 집단항의 소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공직기강에 문제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3일 거제(巨濟)시에서빚어진 전 거제군 출신 계장급 공무원의 집단반발이 그것을 시사해준다. 어떻게 지방자치단체의 중견간부라고 할 계장급들이 업무를 제쳐놓고 집단으로 항의하는 소동을 벌일 수 있는가.설사 그항의가 이유있는 것이라고 해도 그 방법만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다. 어느 조직에 있어서나 인사뒤에는 불만이 따르게 마련이다.
자기자신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가 1백% 일치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그런데도 그 때마다 불이익을 받았다고생각하는 쪽이 항의나 반발을 집단행동화한다면 그 조 직체는 유지되기조차 어려울 것이다.
이번의 경우 일부 공무원들이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장승포(長承浦)시와 거제군의 통합으로 계장자리가 8개나 줄게 된이상 누군가가 무보직상태가 되는 것은 불가피했다.또 두 행정조직을 합쳐 인사하다 보면 상 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게 되는 사람이 생기는 것도 어느 정도는 감수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62명의 계장급 자리중 장승포출신에 32개,거제출신에 30개,이른바 주요 보직이라는 예산.기획.총무.시정과등에 두 지역출신을 균등하게 배정한 것이고 보면 능력위주 인사가 안되었다는 주관적 불만은 있을지언정 지역안배가 안됐다는 불만 은 설득력이없다. 그럼에도 왜 볼썽사나운 일이 빚어졌는가.그것은 무엇보다 인사배경과 원칙에 대한 사전설명이 충분하지 못했던데 그 원인이 있을 것이다.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일인데도 사전에 대비를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보다도 우리가 더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은 이제는 공무원들마저 인사 불만을 집단으로 터뜨릴 정도로 조직기강이 무너져 있다는 점이다.새해들어 35개 통합시가 발족했다.이번과 같은 집단 반발이 계속될 경우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은 어떠하겠는가.그렇지 않아도 세무비리로 공직사회를 보는 사회의 시각은 곱지 않다.이런 때일수록 공직의 본분을 자각해 스스로를 추슬러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