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盧대통령 1년] 3. 부처간 保-革 갈등 풀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북한핵 위기에 주한미군 재배치와 이라크 파병문제까지 겹친 지금은 정부부처 간의 갈등을 줄이고 합의를 이끌어 내는 조정 작업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설문에 응한 외교안보 분야 전문가 중 70%는 정부부처 간 정책조정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중 3분의2 이상이 노무현 대통령의 리더십과 외교안보정책팀 내의 보혁갈등을 그 원인으로 꼽고 있다.

이러한 부정적 평가가 전문가 집단의 보수성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자신을 진보로 분류하는 전문가들(전체 응답자의 21%) 중 89%도 부처 간 정책조정에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들 가운데 50%는 대통령의 리더십과 외교안보정책팀 내의 보혁갈등이 조정실패의 원인이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주목할 만한 부분은, 누가 지난 1년 동안 노무현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주도했느냐는 질문에 61%가 이종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차장을 꼽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5%가 윤영관 전 외교부 장관을, 9%가 라종일 전 국가안보보좌관을 들었다는 사실과 대비된다.

이런 상황이 벌어진 것은 권한을 집중해선 안될 곳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정책에 대한 권한은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돼 있는 정부부처에 주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권한없이 책임만 떠맡는 정부부처가 달가워할 리 없다. 미국과 어렵게 마련한 정책안을 협상의 장에 참여하지 않은 청와대 내 참모기구가 견제하는 상황은 더더욱 간과하기 어려울 것이다. 정책을 둘러싼 불협화음이 일어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정부 내에 의견 차이가 있다는 것 자체가 문제인 것은 아니다. 미국에서도 국방부와 국무부가 사사건건 충돌하며, 백악관 내의 NSC는 그들 간에 다리를 놓기에 분주하다. 문제는, 한국의 경우 NSC가 국방부와 외교부 간의 갈등을 중재하기보다 오히려 양자와 충돌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점이다.

2004년에 노무현 정부의 대미정책이 순항하려면 NSC의 역할이 중요하다. NSC는 자기 나름의 정책안을 가지고 국방부와 외교통상부에 영향을 미치려 하기보다는 본연의 역할인 조정에 충실해야 한다.

김병국 고려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