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비즈] “원자력 비축, 국가안보 개념으로 봐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한국원자력정책포럼 회장인 김영평(63·사진)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는 자신을 “친(親)보다는 지(知)원전주의자로 불러 달라”고 부탁했다. 원전과는 미국 인디애나주립대에서 ‘미국의 원자력 정책’에 관한 박사학위 논문을 쓰면서 연을 맺었다.

  그는 주로 공학의 영역이던 원자력 관련 주제를 3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정책학회의 세미나에서 발표했다. ‘에너지 안보와 원자력의 미래’라는 내용이다.

김 교수는 “에너지를 국가 안보의 개념으로 봐야 한다”며 “산업이 발달하고 사회적 복잡성이 커지면서 사회기반시설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일도 안보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고 에너지 비축 효과가 뛰어난 원자력이 미래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돼 온 사용 후 핵연료 문제는 개발 중인 제4세대 고속로에서 핵연료 재순환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그는 “한국에서 지난 25년간 물가 상승 폭에 비해 전기값 상승률이 적은 것은 총 전력 생산량의 40% 정도를 부담하는 원전의 기여가 컸다”고 강조했다. “원전이 없었다면 한국 사회는 전기료로 엄청난 비용을 치러야 했을 것이고, 서민들의 부담이 가장 컸을 것”이라며 “원자력은 평등을 주장하는 진보적 학자들이 오히려 옹호해야 할 에너지원”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신재생에너지도 엄밀하게 따져 보면 환경친화적이라 할 수 없다”며 “풍력터빈은 저주파 소음공해를 일으키고,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반도체 생산에 독성물질이 사용될 뿐 아니라 국토의 효율적 이용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