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산업의 과제(무공해자동차: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선진국 수출시장 뚫는 「기술개발」절실/「G7프로젝트」 전기차 개발 박차/안전기준 강화… 기술투자 늘려야
우리나라의 자동차산업이 전환기를 맞고 있다. 지구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과 안전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발전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국내 자동차산업에 기술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자동차산업의 전망과 무공해자동차 등 선진국의 차세대 자동차개발현황,국내업계의 대응 등을 세차례에 걸쳐 알아본다.<편집자주>
오는 98년부터 미국에서 자동차를 팔려면 50대에 한대꼴로 전기자동차를 만들어 팔아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미국에 대한 수출을 단념할 수밖에 없다.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판매량의 2%를 전기자동차로 만들어 팔도록 의무화한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배기가스 규제안에 따른 것이다.
미국은 전기자동차 판매비중을 2003년에 1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미국은 이에 앞서 94년부터 자동차의 연소과정에서 나오는 탄화수소의 35%,질소산화물의 60%를 현재보다 줄이도록 했으며 93년 9월부터 에어백을 달아야만 차량을 판매할 수 있도록 환경·안전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국내 자동차업계가 미국 등 선진국의 규제에 대비한 기술개발을 서두르지 않으면 꽃을 피워보지도 못한채 시들어버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전망이 어두운 것만은 아니다.
국내 자동차산업은 그동안 비약적인 성장을 거듭해왔다. 60년대초 단순조립으로 출발한 자동차산업은 80년대 후반들어 수출산업으로 자리잡았으며 이미 세계 10위의 생산국으로 떠올랐다.
자동차 생산대수는 지난해 연간 1백50만대에서 올해 1백70만대,2000년에는 3백20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일부에서는 2000년에 4백만대까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역시 업계의 성장계획에 발맞춰 자동차산업을 수출주력산업으로 육성키로 하고 첨단기술을 중점개발키로한 「G7프로젝트」의 하나로 전기자동차 등을 선정,기술개발자금을 업계에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또 선진국의 안전기준 강화에 대비해 에어백을 생산기술개발 과제중의 하나로 선정해두고 있다.
정부가 선진국의 규제와 수출환경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키로 한 것은 산업구조조정기를 맞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볼때 자동차산업처럼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이 없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오는 95년까지 독자적인 기술능력을 확보,신차종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고 96년이후 차세대형 첨단부품 등 응용기술의 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는 전략을 세워두고 있다.
자동차업계의 기술개발투자비도 91년 매출액대비 4.6%(완성차기준)에서 96년 5.2%,2000년에는 6%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한양대 등 3개 대학에 자동차공학과를 설치,연간 1백70명의 전문인력을 키울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종업원 1인당 부가가치는 연간 2천6백만원,일본은 6천만∼7천만원이다. 공장 자동화율(89년 기준)은 일본이 38%,미국 31%,유럽 33%인데 비해 우리는 21.7%에 그치고 있다.
기술지표만으로 본다면 우리나라의 자동차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아직 걸음마단계인 셈이다. 따라서 국내 자동차산업이 세계의 기술전쟁에서 살아남으려면 배터리자동차·태양열자동차 등의 제작을 비롯한 착실한 기술개발이 이뤄지느냐의 여부에 달려있다.<길진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