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과학의 사명은 인류 복지 구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과학과 인간사회는 동떨어진 별개의 것인가』『과학은 이데올로기와 무관한가』라는 물음앞에 우리는 항상 놓여있다.
이와함께 과학이 인간의 창조적 문학활동의 일부분으로서 인간 역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경제·예술 등 다른 사회현상과 괴리된 상태로 과학을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사실도 알고있다.
따라서 과학은 사회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면서 사회를 변화시키는 양면성을 갖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된다.
오늘의 과학기술은 물질적 풍요와 편익을 가져올뿐 만 아니라 한편으로는 상대적 빈곤을 확대하고 인간의 인식능력의 한계를 넓히면서 환경파괴와 오염, 걸프전쟁에서 볼 수 있는 놀랄만한 무기의 개발과 같은 인류파멸의 위험성까지 내포하고있는 것이다.
우리의 당면과제는 이와같은 2중성을 갖고 있는 과학의 부정적인 측면을 뛰어넘어 과학을 사회발전에 접목시킴으로써 인류복지구현이라는 패러다임에 접근하는 일이다.
오늘날 의학자가 인간의 생명을 구하기 위한 갖가지 연구를 수행하면서 윤리나 도덕적 기준을 정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최근 유전학이나 생화학의 급격한 진보는 과학자가 실험실에서 자신의 인간적 성격을 조절해야할 책임을 느끼면서 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다시 말해 핵이나 암의 연구가 궁극적으로는 생물학적 무기로 발전돼 「과학전쟁」이 되고 있는 상황아래에서 양심이나 면책이 무엇인지 숙고해야 하며 비난이 언제 어디서 시작될지 모르기 때문이다.
과학과 사회와의 사이에는 불확정성 원리가 존재한다.
현재 전세계에는 약 5백만명이상의 과학자와 기술자가 있고 2000년이 되면 2천5백만명으로 증가될 추세다.
앞으로 이렇게 많은 연구자들이 인류와 사회에 책임과 윤리를 느끼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국가차원을 초월해 상호 연대성을 찾는다면 오류로 인한 위험은 물론 엄청난 생물학적 돌연변이의 공포로부터도 우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같이 과학적 연구의 공개와 연대성이 실현된다면 과학은 스스로를 위해 존재할 수 없고 오로지 사회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인식을 더욱 갖게될 것이다.
인류사회에서 최초로 자연의 힘을 처리하는 유능한 관리인으로 등장한 것이 과학자라 할수 있다.
과학자가 실용주의적인 사고와 행동을 포기하고 자신이 습득한 지식을 사회와 국가에 전수할 수 없게 되거나, 자신은 보통사람들과는 다른 부류의 인간이라는 생각에 사로잡혀서 사회와의 협의를 거치지 않고 자기 연구만을 무작정 응용하려고 할 때 갖가지 위험한 사태가 초래될 것은 뻔한 일이다.
이같은 책임은 비단 과학자에게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의 혁명가 후키옐 탄빌이 『공화국은 과학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판결함으로써 결국 과학자 라부아지에가 처형된 것과 같은 비극적인 사태는 2서1기가 지난 오늘날에도 없으란 법이 없다.
과학의 외연이라고 할 수 있는 정치와 사회는 과학이 표명했던 본래의 목적에 접근함과 동시에 과학자의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치가가 과학자의 전문지식을 본래의 목적대로 이해하는 것을 거부한다면 결국 과학과 양심과의 싸움은 무의미해질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