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통적 한옥이 '딴채' 품었다…현대의 맛 제대로 살린 이 곳 [퍼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퍼즐] 박나니의 한옥 이야기(12)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고 있다. 회색빛 바다와도 같은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콘크리트 아파트 단지에서 자라난 젊은 세대가 이런 주거 방식에 싫증을 느낀 나머지 훨씬 더 개방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지닌 우리의 전통 한옥에 시선을 돌리게 된 것이다. 전통적이라고는 하나 요즘 한옥은 한옥의 외관은 유지하되 내부는 현대적인 생활방식에 맞춰 변한 한옥이 많다. 한옥 이야기는 지난 2019년 발간된 책『한옥』에서 다루고 있는 한옥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어두운 색감의 목재와 기와지붕 덕분에 이 고풍스러운 주택은 자연스럽게 시골 풍경의 일부분처럼 느껴진다. [사진 이종근]

어두운 색감의 목재와 기와지붕 덕분에 이 고풍스러운 주택은 자연스럽게 시골 풍경의 일부분처럼 느껴진다. [사진 이종근]

화동재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리에 자리 잡은 화동재는 『한옥』에서 유일하게 도심이 아닌 곳에 위치한 한옥이다. 시골이라는 배경 탓에 이 집이 언뜻 앞서 소개한 가옥들보다 더 전통적인 집처럼 보일 수 있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전통적 외관과는 달리 현대적인 딴채가 함께 존재하는 집이다.

이 집에서 눈에 띄게 현대적인 느낌을 자아내는 공간이다. 단순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띤 이 공간은 목재가 곳곳에 사용되어 고즈넉한 아름다움을 완성한다. 별채에 위치한 넓은 목욕탕은 한국의 온천에서 흔히 볼 수 있듯 가족 목욕을 위한 것으로 특히 손자손녀들에게 행복한 목욕 시간을 제공한다. 다이닝룸은 개방형 주방과 연결되어 있다. [사진 이종근]

이 집에서 눈에 띄게 현대적인 느낌을 자아내는 공간이다. 단순하면서도 현대적 감각을 띤 이 공간은 목재가 곳곳에 사용되어 고즈넉한 아름다움을 완성한다. 별채에 위치한 넓은 목욕탕은 한국의 온천에서 흔히 볼 수 있듯 가족 목욕을 위한 것으로 특히 손자손녀들에게 행복한 목욕 시간을 제공한다. 다이닝룸은 개방형 주방과 연결되어 있다. [사진 이종근]

주택의 정문이 위치한 딴채는 목욕탕이 있는 채, 부엌이 있는 채 그리고 안채와 사랑채를 겸하는 채 등 총 3채로 구성되어 있다. 목욕탕과 안채 사이에 위치한 정문으로 들어서서 좁은 통로를 지나면 도시형 전통가옥을 연상시키는 긴 마당이 눈에 들어온다. 이 마당을 가로질러 초목 사이로 걸어가다 보면 낮은 언덕 위에 한옥 본채가 나타난다.

이 집의 현대적 공간으로 이동할 때는 숲길을 지나가야 한다. 이 숲길은 전통 가옥과 현대식 공간을 자연스럽게 분리해줄 뿐만 아니라 비현대적인 부분을 시야로부터 가려주는 역할도 한다. 목욕시설이 있는 별채는 그 왼편에 자리하고 있다. [사진 이종근]

이 집의 현대적 공간으로 이동할 때는 숲길을 지나가야 한다. 이 숲길은 전통 가옥과 현대식 공간을 자연스럽게 분리해줄 뿐만 아니라 비현대적인 부분을 시야로부터 가려주는 역할도 한다. 목욕시설이 있는 별채는 그 왼편에 자리하고 있다. [사진 이종근]

화동재의 인테리어는 전통 미학을 엄격하게 따라 최소한의 멋만 살렸다. 난방을 위해 설치한 온돌방은 바닥은 옻칠한 종이로, 벽은 한지로 마무리한 작은 공간이다. 한옥 본채에는 다락처럼 높게 만든 누마루가 있는데, 그 끝에는 둘러 막힌 현관이 위치해 날씨가 따뜻할 때는 누마를 개방함으로써 자연과 맞닿은 넓은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다.

부엌은 주택 전체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며, 사람들에게 모임과 편안한 식사를 위한 장소를 제공해준다. 소나무 판자를 이어 만든 천장은 건축가 조송룡이 설계했다. [사진 이종근]

부엌은 주택 전체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며, 사람들에게 모임과 편안한 식사를 위한 장소를 제공해준다. 소나무 판자를 이어 만든 천장은 건축가 조송룡이 설계했다. [사진 이종근]

화동재는 별장으로 쓰이기 때문에 가족과 손님들이 여유 있게 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집주인과 가족들은 현대적인 딴채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데, 특히 부엌 칸과 안채는 밝게 탁 트인 공간이어서 사람들이 모여 이야기꽃을 피우기에 안성맞춤이다. 큼지막한 창문을 통해 안뜰이 보이고, 부엌 칸에서는 언덕 위에 있는 한옥 본채가 바라다보이는 이곳은 참 정겨운 장소이다.

온돌식 보일러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심형 한옥에서 굴뚝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데, 이 굴뚝은 나무를 넣어 불을 지피던 전통 난로의 일부분이다. 툇마루의 두 면에 맞닿은 부분에서 발견되는 장식이나 콜라주 형식의 화강암 벽 그리고 외벽 아랫쪽에 움푹 파인 형태로 만들어진 돌절구는 한국 전통 디자인의 아름다움과 함께 장인들의 멋진 예술세계를 잘 보여준다. [사진 이종근]

온돌식 보일러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심형 한옥에서 굴뚝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데, 이 굴뚝은 나무를 넣어 불을 지피던 전통 난로의 일부분이다. 툇마루의 두 면에 맞닿은 부분에서 발견되는 장식이나 콜라주 형식의 화강암 벽 그리고 외벽 아랫쪽에 움푹 파인 형태로 만들어진 돌절구는 한국 전통 디자인의 아름다움과 함께 장인들의 멋진 예술세계를 잘 보여준다. [사진 이종근]

이 가옥은 전통과 현대, 격식과 비격식, 세련됨과 소박함의 대비가 뚜렷해서 언제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호기심을 자극한다. 실용적인 생활공간인 딴채와 한옥 본채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딴채와 본채를 오가며 자연과 자연스럽게 접촉하게 되고, 본채가 현대적으로 바뀌어야 할 필요성에서 자유로워지며, 아울러 전통을 잘 보존해야 할 필요성을 더 각별히 느끼게 해준다고 할 수 있다.

2000년에 지어진 이 집은 무성한 수목으로 둘러싸여 마치 수백 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듯한 고풍스러움을 자아낸다. [사진 이종근]

2000년에 지어진 이 집은 무성한 수목으로 둘러싸여 마치 수백 년의 역사를 품고 있는 듯한 고풍스러움을 자아낸다. [사진 이종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