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치매진료병원 889곳 평가했더니 1등급은 25%뿐

중앙일보

입력

치매 예방용 그림 맞추기 장면

치매 예방용 그림 맞추기 장면

치매 진료 의료기관에 대한 진료 적정성 평가 결과 4곳 중 1곳이 1등급을 받았다. 치매 진료에 대한 평가가 이뤄진건 이번이 처음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전국 치매 진료 의료기관 889곳에 대한 1차 치매 적정성 평가 결과를 28일 공개했다. 심평원은 “정확한 진단을 통한 적기 치료를 유도해, 환자의 증상 악화를 지연시키는 등 치매 의료서비스 질을 끌어올리기 위한 평가”라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추정 치매환자는 약 84만 명이고, 연간 국가치매관리 비용은 총 17조 3000억 원(GDP의 약 0.9%)으로 추정된다. 이 중 진료비용이 약 2조 8000억 원을 차지하고 있다. 가정에서 간병을 떠맡게 되면서 가계 부담과 가족 갈등, 가족 해체 등 고통이 심화되고 있다.

심평원은 “치매는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면 증상 악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라며 “인구 고령화 심화로 매년 환자수와 진료비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치매 의료서비스 질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라고 평가 배경을 설명했다.

평가 대상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의원 등 치매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
889곳이다. 지난해 10월부터 올 3월까지 외래에서 치매약을 처음 처방받은 치매환자의 진료내역 5만2504건을 분석했다.

평가지표는 4개로, 신규 치매 외래 환자의 ▲담당 의사 중 신경과ㆍ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비율 또는 치매에 대한 교육을 이수한 의사의 비율, 치매 원인 확인 등을 위한 ▲구조적 뇌영상검사 시행률 ▲혈액검사 시행률, 기억력, 사고력 등을 보는 ▲선별 및 척도검사 시행률을 평가했다.
심평원에 따르면 평가 결과 종합점수 평균은 72.9점으로 나타났다. 종합점수 기준으로 5등급까지 구분했더니 가장 높은 1등급은 전체의 25.1%인 223기관으로 나타났다. 1등급 기관은 전국 모든 권역에 분포됐다.

평가지표 중 치매 진료 의사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신경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치매 관련 교육을 이수한 의사의 비율은 전체 80.9%로 나타났다. 심평원은 “치매 환자의 증상은 다양하며 급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치매 환자의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위해서는 치매에 대해 충분한 지식과 경험이 있는 의료진이 필수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신규 치매 외래 환자 중 구조적 뇌영상검사(CT 또는 MRI)를 시행한 환자의 비율은 전체 63.9%로 조사됐다. 치매 의심 환자에게 구조적 뇌영상검사를 하는 이유는 수두증 등 치매와 유사한 증상의 다른 질환을 구분하기 위해서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또 필수 혈액검사 27항목을 모두 시행한 환자의 비율은 전체 35.7%로 나타났다. 혈액검사는 갑상선질환, 영양문제 등 치매의 1차적 원인이 될 수 있는 의학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혈액검사다.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평가인 선별ㆍ척도검사 시행률은 91.6%로 높게 나타났으나 의원의 경우 87.1%만 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영애 심평원 평가실장은 “이번 치매 적정성평가는 초기 치매 환자의 외래 진료를 대상으로 정확한 진단과 치료의 전문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번에는 첫 평가로 의료기관 종별 결과가 다소 차이를 보였다”고 전했다. 이번 평가 결과는 심평원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건강e음)에서 찾아볼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