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내년엔 중국에서 아이돌 공연 할 수 있을까…뛰어버린 주가, 업계는 ‘신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K엔터

K엔터’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최근 한중 정부가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콘텐트 업계가 들썩이고 있다.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지난 6년 굳게 잠겨 있던 중국 시장이 열릴 것이라는 전망이 만들어 낸 현상이다. 과연 기대해도 좋을 정도로 따뜻한 바람이 불까.

한한령이 발동되기 전인 2015년 그룹 빅뱅은 중국 청두에서 단독 콘서트를 진행했다. 빅뱅은 K팝 가수의 중국 공연 사상 최다 관객인 3만 명을 불러 모았다. 사진 YG엔터테인먼트

한한령이 발동되기 전인 2015년 그룹 빅뱅은 중국 청두에서 단독 콘서트를 진행했다. 빅뱅은 K팝 가수의 중국 공연 사상 최다 관객인 3만 명을 불러 모았다. 사진 YG엔터테인먼트

한한령 해제 조짐에 업계 주가 급등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콘텐트 제작·배급사들의 주가가 한 달 사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중순부터 중국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 홍상수 감독의 ‘강변호텔’이 공개된 게 신호탄이 됐다. 이어 대통령실이 한중 정상회담(11월 15일) 성과로 양국의 문화·인적 교류가 재개됐다고 밝히면서 시장의 기대심리를 키웠다는 평가다.

강변호텔 배급사인 콘텐츠판다의 모회사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NEW)는 지난달 7일 5720원에 거래를 마쳤으나, 지난 5일 종가 기준 주가가 8080원을 기록하면서 약 41.3% 올랐다. 최근 국내 시청률 20%대를 넘보고 있는 ‘재벌집 막내아들’ 제작사 래몽래인과 콘텐트리중앙 주가는 같은 기간 각각 37.3%(2만2650원→3만1100원), 33.6%(2만2300원→2만9800원) 뛰었다. 불법 스트리밍을 통한 시청이 대부분이지만, 중국에서도 드라마가 인기를 끌면서 향후 정식 판로가 열리면 지식재산권(IP)을 통한 사업이 용이해질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이 중국 콘텐트 평점 사이트인 더우반에서 8점대의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 더우반 캡처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이 중국 콘텐트 평점 사이트인 더우반에서 8점대의 높은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 사진 더우반 캡처

한한령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콘서트 무산 등 악재를 맞았던 K팝 기업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지난달 7일 종가 기준 6만4000원이었던 SM 주가는 지난 5일 8만1400원으로 약 27.2% 올랐다. 하이브와 JYP도 같은 기간 각각 23.1%(12만3500원→15만2000원), 20.7%(5만3200원→6만4200원)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또한 중국에서 K팝 음반판매 등이 재개될 수 있다는 기대가 시장에 반영된 결과다. KB증권은 “한한령 기간에 제작한 작품 판매로 빠르게 실적에 기여할 수 있어 드라마 제작사 수혜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동렬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한한령 이전부터 우리 콘텐트의 상품성이 중국 시장에서 가장 크게 인정받고 있었기 때문에 현지 소비자와 사업자도 해제를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양측 정부 입장에서도 외교 관계 개선의 시작점으로 삼기에 문화 교류가 가장 효과적이라 (한한령은) 곧 풀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정책 기조 그대로…업계는 ‘신중’

SM 소속 보이그룹인 NCT의 중국 유닛 웨이션브이(WayV). 이수만은 지난해 한 강연에서 팀 이름을 'NCT V'로 지을 생각이었지만, 한한령 때문에 지금 이름으로 바꿨다고 설명했다. 사진 SM엔터테인먼트

SM 소속 보이그룹인 NCT의 중국 유닛 웨이션브이(WayV). 이수만은 지난해 한 강연에서 팀 이름을 'NCT V'로 지을 생각이었지만, 한한령 때문에 지금 이름으로 바꿨다고 설명했다. 사진 SM엔터테인먼트

콘텐트 업계 주가는 상승선을 그리고 있지만, 업계는 여전히 신중해야 한다는 반응이다. 중국 정부는 한한령이 “문화계의 자발적인 움직임”이라고 주장하면서, 정부 공식 입장으로 인정한 적이 없다. 이 때문에 원론적인 이번 정부 발표가 업계 전반의 극적인 변화로 이어질지 미지수다. 중국 OTT에 풀린 일부 작품도 몇 년 전 나온 것이라 성과에 큰 의미는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중국의 팬덤 규제와 대면 콘서트 금지 기조가 여전해 2017년 이전으로 돌아가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여기에 지난달 30일 사망한 장쩌민 전 국가주석에 대한 추도 기간이 이어지고 있어 대중 음악 관련 행사는 모두 중단된 상황이다. 한 가요계 관계자는 “아직은 올해 초와 비슷한 분위기라 피부로 체감할 만한 변화는 없다”고 전했다. DB금융투자는 “코로나19 관련 정책의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만큼 중국 소비 수혜 테마보다는 언택트 성격이 강한 콘텐트, 게임 등 업종의 반등이 두드러진다”고 분석했다.

한한령 해제를 계기로 한중 정부가 양국 간 문화사업의 관행을 확립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 교수는 “정치적인 문제가 생길 때마다 콘텐트 제작이 전면 중단되는 등 외부 조건 때문에 사업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이라며 “사업자들 간 거래 관행이 만들어질 수 있게 양 국가 차원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