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시중 유동성 말라가나…3월 통화량 전월보다 4조 줄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3월 시중에 풀린 통화량이 한 달 전보다 4조원 줄었다. 광의통화량(M2)이 전달보다 줄어든 건 2018년 9월 이후 처음이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10.8%가 늘어 두 자릿수 증가율은 이어졌다.

한국은행이 12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3월 M2는 3658조5000억원(월평균)으로 전달보다 0.1%(4조1000억원) 감소했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 협의통화(M1)에 언제든지 쉽게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금융상품에 들어 있는 자금을 모두 더한 것이다. 만기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 머니마켓펀드(MMF), 양도성 예금증서(CD) 등을 포함한다.

시중 통화량 증감액 추이

시중 통화량 증감액 추이

M2가 전달보다 줄어든 건 2018년 9월(-0.1%) 이후 처음이다. 코로나19로 시중에 막대한 유동성이 풀리며 M2는 매달 큰 폭으로 증가해왔다. 올해 1·2월에도 M2는 각각 21조2000억원, 21조8000억원씩 불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지난 3월 M2는 10.8% 늘었다. 지난해 1월 이후 매달 두 자릿수 증가율 행진이다.

금융상품별로는 정기 예·적금이 한 달 전보다 8조2000억원 늘었고 수익증권도 5조6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금전신탁은 10조5000억원, 머니마켓펀드(MMF)도 8조9000억원 감소했다.

한은 관계자는 “시장금리 상승으로 채권수익률이 낮아지며 MMF와 금전신탁에서 자금이 빠져나가 M2에 잡히지 않는 2년 이상의 정기 예·적금 등 다른 항목으로 일부 이전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가계와 비영리단체가 15조2000억원 늘었고 기업도 12조1000억원 증가했다. 반면 증권사와 보험사 등 기타금융기관은 23조3000억원 줄었다. M1은 1358조 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4% 증가했다.

M1은 1년 전보다 11.3% 늘면서, 지난해 2월(26.0%) 이후 증가율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지난 3월 M2의 감소를 시중 유동성의 감소로 보기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 금리 인상 등으로 돈이 회수되는 속도보다 대출과 추가경정예산(추경) 등으로 돈이 풀리는 속도가 더 빠를 수 있어서다.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1조2000억원 늘어나며 5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 교수는 “추경으로 시중에 유동성이 다시 공급되는 데다 대출도 증가율이 둔화했을 뿐 여전히 늘어나는 추세”라며 “추가 금리 인상이 몇 차례 이뤄져야 유동성 감소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