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日 정부, 윤석열 대통령 취임 축하 "한일 관계, 尹 리더십에 기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일본 정부는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며 한·일 관계 개선을 향한 기대를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松野博一)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의 취임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국제사회가 변화에 직면한 가운데 건전한 한일 관계는 지역과 세계의 평화·안정·번영을 확보하는 데도 불가결하다"고 말했다.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 [AP=연합뉴스]

마쓰노 히로카즈 일본 관방장관 [AP=연합뉴스]

이어 "1965년 수교 이후 구축해 온 우호 협력관계의 기반을 바탕으로 (한일 관계를)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며 "윤 대통령의 리더십에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일 정상회담 계획에 관한 질문에는 "현시점에 정해진 바는 없다"고 답했다.

기시 노부오(岸信夫) 방위상도 이날 각의(국무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북한 대응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윤석열 정부와 긴밀하게 의사소통하고 한·미·일 3개국의 연계 강화를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다.

아울러 2018년 초계기 갈등을 염두에 둔 듯 "한일 방위 당국 간 여러 과제가 양국의 방위 협력·교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윤 정권이 리더십을 발휘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20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뉴스1]

자민당 보수파 "한국 대응 더 지켜봐야" 

일본 방송들은 이날 윤 대통령 취임식을 실시간으로 중계하며 큰 관심을 보였다. TV아사히는 정보 방송 도중 한국 대통령 취임식 장면을 중계로 삽입해 전문가의 해설과 함께 내보냈다. TBS는 위성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취임식을 생중계했다.

이날 취임식에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 특사로 파견된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외무상이 참석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하야시 외무상은 이날 취임식 후 윤 대통령을 만나 기시다 총리의 친서를 전달했으며 이 자리에서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쌓아온 한일 우호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한일 관계를 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며 "한일관계 개선을 (더는) 기다릴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이른 시일 내 기시다 총리와 만나기를 기대한다"고 답했으며 한일관계 개선에 협력하겠다는 뜻도 밝혔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오른쪽)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9일 서울에서 회담을 가진 후 팔꿈치 인사를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연합뉴스]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오른쪽)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9일 서울에서 회담을 가진 후 팔꿈치 인사를 하고 있다. [외교부 제공=연합뉴스]

한편 집권 자민당 내에서는 한국 정부의 대응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오고 있다. 전 외무상인 모테기 도시미쓰(茂木敏充) 자민당 간사장은 10일 기자회견에서 한국 새 정부 출범에 대한 질문을 받고 "불행히도 전 정권하에서 한국 측의 문제에 의해 (양국의) 교우 관계가 무너져 버렸다"면서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을 한국에 돌렸다. 이어 "윤 대통령의 (일본에 적극적인) 자세는 높이 평가하지만 구체적인 행동에 대해 제대로 볼 필요가 있다"면서 유보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자민당 내 보수파인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정조회장도 이날 당 정조심의회에 참석해 윤 대통령의 취임에 대해 축하의 뜻을 표하면서도 한국 측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을 무시하는 등 "국제 약속과 의례를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한일 관계 개선은 우리도 (한국 측의 앞으로의 대응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시다 총리는 전날 하야시 외무상을 윤 대통령 취임식에 파견한 이유에 대해 "한일 간에 어려운 문제가 존재하지만 이대로 방치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강제 동원 피해자 문제나 위안부 문제 등 현안에 대해서는 "나라와 나라의 약속을 지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우리나라(일본)의 일관된 입장에 근거해 대처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