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日 대사에 한·미·일 공조 거듭 강조한 尹…은사 빈소 찾아 조문도

중앙일보

입력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찾은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와 악수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찾은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와 악수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북한이 핵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한·미·일 3국간 더욱 긴밀한 공조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의 ICBM(대륙 간 탄도미사일) 발사 문제에 대한 동맹국간 공조의 필요성을 일본 측에도 직접 전달한 것이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전 서울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아이보시 고이치(相星孝一) 주한 일본대사를 25분간 접견했다. 당초 접견은 지난 17일 오후 예정돼 있었지만, 아이보시 대사가 코로나19에 확진되면서 북한의 ICBM 발사 이후에 접견이 이뤄지게 됐다.

윤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최근 한일 관계의 경색국면을 극복하기 위해선 올바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인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함께 지혜를 모아 나가자”고 당부했다고 인수위 관계자가 서면 브리핑에서 전했다. 이에 아이보시 대사는 이날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한일 양국간 안보에 지대한 위협이 됨은 물론 국제사회에 심각한 도전으로 여겨지는 만큼, 앞으로도 동아시아 지역의 안정과 번영을 위해 한국과 긴밀히 협력해나가길 희망한다”고 화답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지난 11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약 15분간 통화했다.    사진은 11일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시다 일본 총리와 통화하는 윤석열 당선인과 지난 4일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하는 기시다 일본 총리.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지난 11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약 15분간 통화했다. 사진은 11일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기시다 일본 총리와 통화하는 윤석열 당선인과 지난 4일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하는 기시다 일본 총리.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24일 ‘화성-17형’이라고 주장하는 ICBM을 발사해 지난 2018년 국제사회와 체결한 이른바 ICBM 모라토리엄(유예)을 파기했다. 후보 시절부터 ‘동맹 외교’를 중시해 온 윤 당선인은 이날 아이보시 대사와의 접견에서 “한일 양국은 안보와 경제번영 등 여러 협력 과제를 공유한 동반자”라며 북한 도발에 대한 한·미·일 공조에서 일본의 역할을 거듭 요청했다고 한다.

익명을 요구한 인수위 관계자는 “이날 접견은 지난 11일 기시다 총리와의 당선 직후 통화 연장선상이었다”라면서 “‘외교를 국내 정치에 활용하지 말자’는 데 대한 한일 양국의 공통된 입장을 다시금 확인한 자리였다”고 회동 분위기를 전했다. 문재인 정부 동안 무역분쟁(2018년 7월), 정상회담 무산(2021년 7월) 등으로 급랭한 한일 관계의 회복 필요성에 양측이 공감대를 이뤘다는 후문이다.

윤 당선인은 언론에 공개된 모두발언에서도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개선 필요성을 거론하며 “과거처럼 좋은 관계가 시급히 복원돼야 한다고 생각하고, 양쪽 다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이보시 대사에게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지난 11일 당선 직후 바로 축하 메시지도 보내주시고 전화도 해주셔서 정말 감사했다”며 한일 현안에 대해 기시다 총리가 “많이 꿰뚫어 보고 계시다”고덧붙였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통의동 대통령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외출하기 위해 나와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8일 통의동 대통령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외출하기 위해 나와 차량에 탑승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한편 윤 당선인은 전날 고(故) 김철수 서울대 명예교수의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김은혜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헌법학자로서 국내외에 고인이 보여준 울림이 많았기 때문에, (윤 당선인이) 과거 추억도 회상하면서 고인이 남긴 발자취를 함께 기렸던 것으로 안다”고 조문 배경을 설명했다. 서울대에서 41년간 헌법학을 강의한 김 명예교수는 지난 26일 별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