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GTX-A 28년까지 삼성역 안 서고 통과... C노선은 상록수역 운행

중앙일보

입력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노선은 2024년 6월에 전 구간이 완공되더라도 2028년까지는 삼성역에 서지 못할 전망이다. C노선은 당초 정차역에 포함되지 않았던 상록수역(안산선)도 운행하게 된다.

 국토부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GTX 사업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밝혔다. 지하 50m 깊이에서 운행하게 될 GTX는 표정속도(역 정차시간을 포함한 평균 운행시간)가 시속 100㎞ 안팎으로 일반 지하철보다 2~3배 빨라 서울 도심과 외곽을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사업 진행이 가장 빠른 A노선(파주 운정~동탄)의 경우 삼성~동탄 구간은 내년 말에 완공되며, 운정~삼성은 2024년 6월에 공사가 완료될 계획이다.

 하지만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삼성역복합환승센터(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가 변수다. 삼성역 사거리와 코엑스 사거리 사이 600m 구간에 지하 7층 규모로 조성될 삼성역복합환승센터는 GTX-AㆍC 노선과 지하철 2ㆍ9호선, 위례신사선 등이 정차할 계획이다.

 또 기존 도로는 지하화하고, 지상에는 대규모 녹지광장이 들어서게 된다. 총사업비는 1조 8000억원 안팎이다. 문제는 완공시기가 2028년 4월로 계획되어 있다는 것이다.

 철도역은 승하차 시설은 물론 법정 비상대피시설까지 모두 갖춰져야만 승객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임시사용도 완공이 임박한  시기에나 허용될 거라는 게 철도업계의 관측이다.

서울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사진 서울시]

서울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조감도 [사진 서울시]

 이 때문에 A노선은 예정대로 개통하더라도 상당기간 삼성역을 무정차 통과해야만 한다. 게다가 삼성역 무정차 통과도 서울시 계획대로라면 2025년 말부터나 가능할 전망이어서 A노선은 개통 초기에는 운정~서울역, 동탄~수서로 분리 운영할 가능성이 크다.

 사업성 부족으로 민자적격성 심사에서 두번 연거푸 탈락했던 B노선(송도~마석)은 재정과 민자사업 구간으로 나눠서 진행된다. 용산~망우 구간은 재정을 투입해 건설하고 나머지 구간을 민자가 담당하는 방식이다.

 안재혁 국토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장은 "B노선의 사업구조 변경에 대해 기획재정부와 지난해 말에 협의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올 상반기에 B노선의 기본계획과 시설사업기본계획(민자사업 제안요청서)을 고시한다는 목표다.

 지난해 현대건설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해 최근까지 협상이 진행된 C노선은 기존에 민자사업자가 제안했던 3개의 추가 정차역(왕십리역, 인덕원역, 의왕역) 외에 상록수역에도 열차를 운행하게 된다.

 금정역에서 안산선을 이용해 상록수역까지 운행한 뒤 되돌아가는 방식이다. 다만 열차운행 간격은 시간당 1대 정도가 될 전망이다. 이 같은 내용은 한국개발연구원(KDI) 검토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GTX)-A 노선에 투입될 철도차량의 실물모형(Mock-Up). [중앙일보]

GTX)-A 노선에 투입될 철도차량의 실물모형(Mock-Up). [중앙일보]

 철도업계 관계자는 "상록수역의 GTX 운행을 더 늘릴 경우 4호선 열차 운행을 줄여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GTX 수혜권이 아닌 지역의 주민 불편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국토부는 최근 지상화와 지하화 여부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는 C노선의 창동역~도봉산역 구간에 대해서는 주민설명회와 의견수렴 등을 거쳐 실시협약(올 상반기 체결 목표)에 반영한다는 입장이다.

 지역 요구와 달리 김포~부천으로 노선이 축소돼 반발을 샀던 D노선은 현재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며, 올해 안에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한다는 게 국토부 계획이다. 또 국토부는 B노선과 연계해 D노선 일부 열차를 용산까지 연장 운행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관련기사

 이러한 국토부 계획에도 변동 요인은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등이 GTX 기존 노선의 연장과 신규 노선 확대를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기 때문에 대선 결과에 따라 노선 조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