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검사자 5명 중 1명 양성, 누적 확진 100만 넘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오미크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확산에 6일 신규 확진자가 4만 명에 육박했다. 이달 중순께 3만 명대를 기록할 거라던 정부 예측보다 열흘 가량 빠른 속도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양성률도 20%를 넘어서 검사자 5명 중 1명꼴로 확진 판정을 받고 있다. 이달 말께 하루 10만 명 이상 환자가 발생하며 의료체계가 또다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6일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신규 환자는 2만7710명 발생해 동시간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신규 환자는 지난달 26일(1만3009명) 첫 1만 명대를 넘어섰는데 일주일 만인 지난 2일(2만269명) 2만 명 선을 돌파했고, 사흘 만인 5일 3만 명대 중반으로 올라선 데 이어 이제 4만 명을 바라본다.

주말이라 검사량이 줄었지만 확진자 수가 크게 늘면서 양성률은 20.8%까지 올랐다. 5명이 검사하면 1명이 확진 판정을 받는다는 얘기다. 설 연휴 대규모 이동 여파가 다음 주에 본격 반영된다면 4만 명을 넘어 5만 명대로 올라설 가능성도 있다.

코로나19 누적 환자도 첫 환자 발생 748일 만에 1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12월 10일 50만 명을 돌파했는데 두 달 정도 만에 그만큼의 환자가 또 나온 것이다. 최근 확산 속도는 당국의 예상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이달 중순 확진 3만 된다더니 … 정부 예측보다 열흘 빨랐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최다치를 기록하는 가운데 6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제2주차장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뉴시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최다치를 기록하는 가운데 6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실종합운동장 제2주차장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지어 대기하고 있다. [뉴시스]

관련기사

방대본은 오미크론 전파력을 델타의 3배로 가정했을 때 이달 중순 하루 2만7000~3만6800명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예측이 빗나가고 있는 데 대해 방대본 관계자는 “오미크론 유행 초창기의 데이터만으로 예측하는 게 쉽지 않고, 어떤 변수를 어떻게 비중을 두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업데이트된 예측치를 7일 브리핑 때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부의 낙관적 예측이 늑장 대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때도 정부는 “1만 명까지 대응할 수 있다”며 자신하다가 사태를 악화시켰다. 당시 정부는 중증화율을 1.6% 정도로 가정해 병상을 확보했는데, 실제 이 비율이 2.0~2.5%로 나타나면서 의료 대응 여력이 빠르게 소진됐다.

최근 확산 속도를 고려하면 이달 내 하루 10만 명 이상이 확진되는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경고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주 단위로 확진자가 두 배씩 증가하고 있는데 방역정책이 변하면서 3T(검사·추적·치료) 유지가 어려워졌다”며 “전파 능력이 더 가속할 것이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유행 정점의 확진자 수는 최소한 10만 명 이상이 될 것”이라며 “이르면 4주 정도 내에 정점에 도달할 수 있다”고 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지난 3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마지막으로 조사된 감염 재생산지수가 1.54 정도였다”며 “이를 그대로 적용하면 길게 잡아도 3, 4주 안에 10만 명 발생이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더 비관적인 견해도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주말인 데다 60세 이상으로 PCR(유전자증폭) 검사 대상을 축소했는데도 이 정도의 확진자가 나오는 건 이미 5만 명 선도 넘었다고 봐야 할 것”이라며 “향후 20만 명 이상도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중증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은 오미크론의 특성에 현재 위중증 환자와 병상 가동률 지표는 비교적 안정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환자가 7만~8만 명이 되면 또다시 의료체계에 부담이 가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김우주 교수는 “오미크론 중증화 비율을 델타의 5분의 1로 본다고 해도 환자가 7만 명으로 델타 때의 10배로 증가한다면 위중증 환자가 델타의 2배로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비해 고위험군 조기 진단과 치료에 역량을 쏟아야 한다고 김 교수는 강조한다.

특히 재택치료자의 치료제 처방과 입원 의뢰 등이 제때 이뤄지지 않으면 피해를 키울 수 있는 만큼 체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최근 광주에서는 재택치료를 받던 17세 고등학생이 격리해제 나흘 만에 코로나19 감염에 의한 폐색전증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정부는 특이 소견이 없어 격리 해제됐다는 설명이지만 유족들은 재택치료 관리의 허점에서 비롯된 일이라며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이날 기준 재택치료 환자는 12만8716명으로 관리역량(16만3000명)의 78.9%까지 찬 상황이다.

김우주 교수는 “고위험군에 집중해 치료제를 제때 투여하고,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징후를 파악해 조치해야 한다”며 “연령, 기저질환, 접종 여부로 위험도를 따져 빨리 대응하지 않으면 악화한 뒤에나 병원으로 이송되거나 자칫 집에서 사망하는 일들이 다시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정재훈 교수는 “병상은 한계 수준만큼 확보해놔 더 늘리기 어렵다”며 “경구용 치료제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환경을 만들어야 하고, 백신 추가 접종을 더 독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