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30만명분 화이자 치료제 1월부터 공급…누가 먼저 복용할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 30만명분이 이르면 내달 말부터 순차적으로 들어온다. 각국이 확보전에 나서면서 백신 때처럼 초기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거란 우려도 나온다. 30만명분이 월별로 나눠 도입될 예정인 만큼 누구에게 먼저 투약할지 우선순위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도입과 관련, “정부는 이미 밝혀드린 7만명분보다 훨씬 더 많은 30만명분 이상의 치료제 구매 협의를 화이자사와 진행해왔고 계약이 곧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이탈리아 아스콜리에서 생산되는 팍스로비드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이탈리아 아스콜리에서 생산되는 팍스로비드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7만명분에 대해선 구매 약관을 체결했고 16만2000명분에 대해 실무 협의가 완료돼 계약을 체결한 단계였으나, 방역상황 등을 고려해 추가 구매 논의가 진행됐고 그 결과 현재 30만명분 이상 구매에 대한 실무 협의가 거의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물량에 대해서는 “식약처(식품의약품안전처) 긴급사용승인 일정과 연계해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앞서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를 총 40만4000명분 계약했다고 밝힌 바 있다. 머크의 몰누피라바르 24만 2000명분,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7만명분이다. 그러나 단계적 일상회복 후 확진자가 크게 치솟으면서 방역 상황이 달라지자, 추가 구매에 나서게 됐다. 중앙방역대책본부 관계자는 “당초 확진자 발생 기준을 5000명 수준에서 고려했는데 일상회복 후 확진자가 7000명대까지 늘었다. 일상회복 재개를 위해 그 수준으로까지 경구용 치료제를 준비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언제쯤 국내 환자에 쓸 수 있을까. 방대본 브리핑에서 고재영 질병관리청 대변인은 “1월 말에 (도입)가능하도록 긴밀하게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식약처가 연내 긴급 허가하고 빠르면 1월 중순께 들어올 가능성도 있다.

30만명분이 한꺼번에 들어오지는 않고 월별로 나눠 도입된다. 방대본 관계자는 “초도 물량은 좀 더 확인하고 알려주겠다고 한다”며 “월요일(27일)께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생산을 다 해놓은 게 아니고 내년 초 생산해 배분할 것이라 초도 물량이 많지는 않을 것”이라며 “하반기에야 공급이 원활할 것으로 보인다”고도 했다.

화이자사가 올해 중 공급 가능하다고 밝힌 물량은 18만명분뿐이다. 내년에는 당초 계획(8000만명분)보다 늘려 1억2000만명분까지 생산할 계획이나 얼마나 빠르게 공급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화이자에 따르면 팍스로비드는 활성 성분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복잡한 화학 작용으로 생산에 6~8개월 걸린다고 한다. 지난 22일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은 “생산이 매우 복잡하고 까다로운 합성 과정”이라며 “긴 생산 기간을 단축하는 걸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회사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AP=연합뉴스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AP=연합뉴스

오미크론이 확산하며 환자 급증으로 수요가 크게 늘면 물량 확보가 더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에서 감염자가 하루 1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나이, 기저질환 때문에 코로나19 중증 위험이 높은 12세 이상에만 허가됐지만 빠르게 소진될 수 있다”고 썼다.

미 식품의약국(FDA)는 팍스로비드를 승인하면서 12세 이상 코로나19 환자 가운데 기저질환, 고령층 등 고위험 환자에 쓰게 했다. 방대본은 이와 관련, “구체적인 적응증(치료 범위)은 식약처의 긴급사용승인을 발표하며 같이 결정돼 안내될 것”이라며 “기저질환, 고위험 요인이 있는 경증·중등증 환자를 대상으로 재택환자에게 유용하게 사용할 것”이라고만 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이 확산하면 환자 절대 규모가 커져 절대 중증환자 수도 많아질 수밖에 없는데 30만명분이 적시에 얼마나 충분하게 들어올지 불확실성이 크다”며 “모델링을 통해 고위험군 투약 대상이 얼마나 될지 정하고 부족할 경우 고령자, 기저질환자, 미접종자 중 누구에 먼저 맞힐지 전문가와 미리 협의해 컨센서스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주 교수는 “임상에 참여한 인원이 많지가 않아 예기치 않은 부작용이 나올 가능성이 있으니, 대비가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