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정국 안정·민생 치안 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정당 선호도 비슷>
그러다가 여권이 내각제 개헌론을 끄집어낸 일년엔 다시 대통령제 (73.1%)가 내각제 (14.0%)를 훨씬 앞질렀다.
이렇게 볼 때 정부 형태의 선호도는 제도 자체에 대한 호·불호 보다는 그때그때의 정치 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별로는 40대를 중심으로 나이가 적을수록, 또 많을수록 대통령제에 대한 지지도가 높고 (20대 70%, 30대 69.4%, 40대 65.5%, 50대 이상 66.1%) 학력별로는 고학력일수록 내각제 또는 이원집정제를 선호하고 있다. 중졸 이하 4.6%, 고졸 8.2%, 대재 11.7%, 대졸 이상 14.7%다.
각 정당에 대한 호감의 정도는 해마다 떨어졌을뿐 아니라 내용이 뒤죽박죽이다. 특히 호감이 가는 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88년19.9%에서 89년엔 33.4% 늘어났고 이번 조사에서는 3분의 2선인 64%로 급증했다.
민자당에 대한 지지도 (10.1%)는 과거 민정·민주·공화당의 지지도를 합한 45.9% (88년), 44.5% (89년)에 횔씬 못미칠뿐 아니라 민정당 단독으로 얻었던 15.6% (88년), 12.9% (89년)는 물론 구3당 어느 당이 받은 지지도보다 떨어져 3당 통합의 성적표가 형편없음을 나타냈다.
평민당에 대한 지지도도 88년 23.2%에서 89년 15.2%,90년 13.1%로 계속 떨어져 여야 할 것 없이 정치권에 대한 불신이 날로 커가고 있음을 드러냈다.
현재 정당별 지지도는 평민당 (13.1%), 민자당 (10.18%), 민주당 (9.8%), 가칭 민중당 (2.6%) 순으로 도토리 키 재기 현상을 보이고 있다.
출신 지역별로는 전라-광주 지역 출신들에게서만 평민당이 압도적 우위를 누리고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는 모두 민자당에 뒤져 극심한 지역별 편차를 보이고 있다.
오히려 민주당이 전남북-광주 출신을 빼고는 평민당을 앞지르고 있고 서울·경기·인천(11.1%), 충청-대전 (9.1%) 출신에서는 민자당 보다도 앞서고 있다.
거주 지역별로는 평민당이 전남북-광주 (52.6%), 제주 (18.2%)에서, 민주당이 경기-인천(12.7%)에서 각각 선두에 서고 나머지 지역은 민자당이 앞서고 있다.

<노무현 의원 1위>
평민·민주·재야가 통합할 경우 27.8%가 야당을 지지하겠다고 밝혀 3자가 각기 받은 지지율 합계 25.5%보다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고, 야당이 통합될 경우 민자당에 대한 지지도도10.11%에서 10.8%로 약간 늘어난다.
3당 합당 뒤에 정국이 더 불안해졌다는 응답 (50.6%)이 과반수를 넘어 합당 발표 직후 지지율 60.8%와 비교하면 하락세를 보였다. 더 안정됐다는 응답이 5.2%에 불과한 것은 합당이후 계파간 알력과 세력 다툼으로 당초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계 인사 중 인기도는 노무현 (16.6%) 김대중 (10.3) 노태우 (8.2%) 김종필 (6.2%) 박찬종 (5.3%) 백기완 (4.3%) 김영삼 (3.9%) 이기택 (3.1%) 이종찬 (3.0%) 이철 (2.4%) 강영훈 (1.7%) 박철언 (1.6%) 전두환 (1.3%) 순으로 나왔다.
반면에 「정계를 떠나야할 사람」으로는 김대중 (29.3%) 김영삼 (16.4%) 전두환 (11%) 노태우 (9.6%) 김종필 (2.6%) 박철언 (0.7%) 백기완 (0.4%) 박태준·노무현 (이상 0.3%) 순으로 나타났다.
두 김씨에 대한 거부감은 전두환씨에 대한 거부감보다 높고 지지자 숫자보다 거부하는 숫자가 더 많아 이른바 세대 교체론이 만만치 않음을 보여준다.
현재 여야간의 쟁점이 되고 있는 지방자치제 선거에서의 정당 공천제 도입에는 찬성15.6%에 비해 44.8%로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특히 정당 추천제에 대해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중졸 이하 33.3%, 고졸 47.0%, 대졸 이상54.7%, 대재 54.7%), 소득이 많을수록 (30만원 미만 30.1%, 30만∼50만원 38.8%, 50만∼70만원 44.8%, 70만∼1백만원 47.8%, 1백만∼1백50만원 53.4%, 1백50만원 이상 56.5%) 반대 의견이 많았다.

<국회 역할에 실망>
우리 사회의 주요 기관들의 역할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으나 언론 (28.2%), 군부 (25.1%), 종교 단체 (22.7%) 등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비판 여론이 더 많기는 하나 노동조합 (21.9%), 대학 (18.1%), 대통령 (17.1%) 등이 다음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이에 반해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지적된 기관은 국회 (76.1%), 경찰 (53.1%), 정부경제 부처 (52.7%) 등인데 이는 정치 불안·민생 치안 미비·물가 불안 등이 영향을 미치고있는 것으로 보인다.

<10년 뒤 장래 낙관>
이미 지적한대로 시국에 대한 불안감을 보이면서도 우리 나라의 10년 뒤의 정치·경제적인 미래는 「안정과 성장을 이룩한 지금 일본과 비슷해질 것이다」가 41.1%로, 「혼란과 침체에 빠진 지금 아르헨티나와 비슷해질 것이다」(5.4%)보다 훨씬 많은 응답을 받아 장기적으로는 나라의 장래를 낙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같은 낙관론은 연령에 따른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대 42.1%, 30대 41.8%, 40대 41.2%, 50대 이상 40.6%).
10년 뒤 국제 사회에서의 우리 나라 영향력에 대해서도 「지금과 별 차이가 없을 것이다」 (20.9%), 「지금보다 작아질 것이다」 (1.5%)보다 「지금보다 커질 것이다」 (63.8%)가 압도적이다.
한편 외국 지도자에 대한 호감은 고르바초프 소련 대통령이 36.9%로 단연 앞서 북방 정책 붐에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진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