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45년 전 대지진에 수십만 숨진 그 도시…中 '로봇 도시'로 부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차이나랩

차이나랩’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1976년 7월 28일, 베이징 인근 허베이(河北)성 탕산에서 규모 7.8의 대지진이 일어났다. 이 대지진으로 수십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20세기 최악의 사건' 중 하나라는 말도 나왔다. 탕산 대지진은 정치·사회적 변동과 맞물려 일어나 주목받기도 했다.

한 시민이 탕산대지진 유적기념공원 추모벽에 헌화하고 있는 모습. [사진 신화통신]

한 시민이 탕산대지진 유적기념공원 추모벽에 헌화하고 있는 모습. [사진 신화통신]

탕산 대지진이 일어난 그해 1월,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가 사망하고 그를 추모하는 집회가 이어졌다. 이후 10월 문화대혁명의 주역 4인방의 공격으로 덩샤오핑(鄧小平) 부총리가 실각했다. 심지어 당시 중국 지도자였던 마오쩌둥(毛澤東)은 죽음을 앞두고 있었다. '리더십 부재 상황'까지 겹친 정치적 혼란기였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치 리더십 공백과 정쟁 때문에 탕산 대지진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중국 내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얼마 후 4인방이 곧 몰락하고 덩샤오핑이 복귀하는 정치적 변동기가 이어졌다.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 정부가 대지진 대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자, 많은 이들은 폐허가 된 탕산의 재건이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했다. 놀랍게도 탕산은 이러한 예상을 깨뜨렸다.

지난해 탕산의 지역총생산(GRDP)은 7211억 위안(약 127조 7천 68억 원)을 기록하며 허베이성에 있는 도시 중 1위를 차지했다. 단순한 도시 재건을 뛰어넘어 45년 만에 중국의 '신흥 산업 도시'로 변모한 것이다.

한 직원이 탕산 첨단기술산업개발구의 한 공장에서 특수 로봇을 시운전하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한 직원이 탕산 첨단기술산업개발구의 한 공장에서 특수 로봇을 시운전하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대지진 피해지'라는 꼬리표 떼고 '로봇 도시'로 재조명

중공업 위주였던 탕산은 신흥 산업에 눈을 돌렸다. 로봇·첨단장비·친환경건축자재 등 최근 주목받는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그 결과 연구개발·제조·판매·서비스 등 전반적인 산업 사슬이 완비된 '로봇 도시'로 떠올랐다.

신화통신은 얼마 전 검사 로봇을 출시한 현지 스마트 장비 업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이 업체가 200건 이상의 주문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해당 로봇을 출시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시기였다.

탕산 파나소닉 산업용 로봇 기업에서 용접 로봇 제품의 정보를 살펴보는 한 직원의 모습. [사진 신화통신]

탕산 파나소닉 산업용 로봇 기업에서 용접 로봇 제품의 정보를 살펴보는 한 직원의 모습. [사진 신화통신]

또 650개 이상의 하이엔드(High-End) 장비 제조업체가 탕산에 거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총 자산가치는 1270억 위안(22조 4917억 원) 이상이다.

탕산은 핵심 개발 구역 중심으로 스마트화 작업에도 한창이다. 이곳 첨단기술산업개발구에서는 공업 기업의 스마트화를 지원하는 등 첨단기술기업 육성과 산업 구조 최적화에 힘쓰고 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개발구에는 237개 첨단기술기업, 900여 개 과학기술 중소기업 외에도 각종 연구개발 기관 120개가 들어섰다.

산업용 로봇이 탕산 후이중(?中) 계량기 기업에서 정밀 계기 부품을 운반하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산업용 로봇이 탕산 후이중(?中) 계량기 기업에서 정밀 계기 부품을 운반하고 있다. [사진 신화통신]

탕산, 글로벌 영향력 강화 나서

국내 기업 유치 외에도 외국인 투자 유치 역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탕산은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약 85억 달러(9조 7920억 원)의 FDI를 유치했는데 이는 허베이성 도시 중 가장 큰 규모다.

코로나19를 뚫고 화물량도 늘었다. 상반기 탕산항의 화물 물동량은 3억 5000만t에 달했다고 지난달 29일 신화통신이 보도하기도 했다. 또 허베이성 탕산시 당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탕산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123만 6000TEU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11.79% 증가한 수준이다.

상·하단 사진 모두 탕산항 전경. [사진 소후닷컴]

상·하단 사진 모두 탕산항 전경. [사진 소후닷컴]

탕산은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 통합 발전의 수혜 지역으로 발돋움하기도 했다. 베이징의 비수도 기능 분산 정책으로 여러 기업이 베이징 인근의 탕산에 회사와 공장을 건설했기 때문이다.

또 베이징, 텐진(天津)과 손잡고 각 1억 위안(178억 원) 규모의 프로젝트 562개를 시행하는 등 징진지 통합 발전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탕산시는 수소 산업 클러스터 건설 계획도 추진 중이다. 물류 차량, 도시 정비 차량, 대형트럭 등 중심의 ▶수소 전기차 산업 발전 ▶인프라 구축 ▶수소 가격 인하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서 비즈니스 기회를 엿본 한국 현대차는 지난해 11월 중국 기업과 '징진지 지역 수소전기차 플랫폼 구축을 위한 MOU'를 추가 체결하기도 했다. 이처럼 각종 사업을 다각도로 펼치고 있는 탕산에서 우리 기업도 협력 기회를 모색할 수 있지 않을까.

차이나랩 이주리 에디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