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낯선이와의 여행 즐기는 중국 Z세대, 왜?
사진 시나닷컴 올해 춘절 연휴 중국 국내 여행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뤘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3년 만에 처음으로 이동 자제가 완화된 연휴였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중국 MZ세대
-
제2의 중국판 ‘KFC’ 등장…패스트푸드 4대장 떠오른 이 업체
중국 패스트푸드 업계에 새로운 다크호스가 등장했다. 중국 매장 수 3000개를 돌파하는 등 빠르게 규모를 확장하며 ‘중국판 KFC’ 화라이스(华莱士·WALLACE)의 아성을 위협
-
하루도 안 빠지고 '비극' 기록했다, 우크라 전쟁 343일차 [타임라인]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키이우 시간, 한국시간-7시간) ※2022년 2월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1일차부터 매일 업데이트 중입니다. ▶2월 1일 침공 34
-
"모델도 최지우, 韓브랜드인줄" 코로나 틈타 상장 이룬 中화장품
자국 제품을 애호하는 중국이지만, 어쩐지 ‘화장품’에만은 인색했다. 자국 브랜드 대신 한국이나 일본 브랜드의 화장품을 더 선호했다. K팝과 드라마 등 한때 중국을 열광시켰던 ‘한
-
[중국읽기] 중국몽과 중국인구
유상철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대표 중국은 지대물박인다(地大物博人多)의 나라다. 땅은 넓고 물산은 풍부하며 사람은 많다는 이야기다. 그런 중국의 전국시대 인구는 2000만 정도로 추
-
"이불 두겹에도 덜덜"...中민심, 북극한파보다 더 차가운 이유
지난 25일, 전국에는 한파 특보가 내려졌다. 기상청에 따르면 서울 체감온도는 영하 24.7도(오전 6시 기준)까지 떨어졌다. 이런 혹한의 날씨에 민심을 더욱 얼어붙게 한 것은
-
중국은 ‘아아’ 말고 ‘뜨와(뜨거운 와인)’
사진 소후 '뜨거운 와인(熱紅酒, 뱅쇼)'이 중국 젊은 세대 사이에서 인기다. 뱅쇼가 중국 길거리에서 처음 등장한 것은 2021년 겨울이었다. 당시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이해 중국
-
인구 감소하며 더욱 주목받는 '사람 돕는 로봇', 중국서 잘 만드는 기업은?
유년기에 본 영화 중, 혁신적인 주제와 내용 때문에 강렬하게 기억에 남은 작품이 있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A.I.(에이아이)’(2001)와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의 영
-
“중국과 전쟁 준비 안 돼 있다” 경고한 美 싱크탱크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미군의 총수는 1200만 명에 달했다. 종전으로 대규모 병력이 불필요해지자 미 정부는 적극적으로 감축에 나섰고 1949년엔 주한 미군도 모두 철수했다
-
“경제는 얼었지만..” 中 기업의 2023년 춘절 선물 모음
춘절(春節, 음력 정월 초하룻날), 중국의 가장 큰 명절이다. 매년 춘절이 되면 기업들은 회사의 아이덴티티를 담은 선물세트를 증정한다. 자사의 캐릭터를 활용한 굿즈는 물론, 실용
-
손 큰 中 MZ, 한 달 월급 40% ‘설 맞이 용품’ 구매에 쓴다
중국의 소비 주력군으로 부상한 90년대생, 00년대생 청년이 ‘녠훠(年貨)’ 구매 행렬에도 합류했다. 녠훠(年貨)는 중국에서 춘절(春節·음력설)을 맞기 위해 장만하는 물건이나 가
-
중국에는 섬유를 거래하는 플랫폼이 있다?
사진 픽사베이 2021년 중국 B2B 전자상거래 규모는 무려 29조 95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34% 증가했다. 왕징셔(网经社) 전자상거래연구센터는 2025년까지
-
전국 1등→전국 꼴찌 '세종 눈물'…강원 그대로? 집값의 반전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지난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 가격은 평균 5.54% 하락했다.
-
3년 만에 '춘절 해외여행' 벼르는 中 MZ…일본이 2위, 한국은?
사진 환구시보 위드 코로나 전환 후 첫 춘절(春节, 중국의 음력 설), 중국인의 해외여행 수요가 폭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가 단기 비자 발급 중단 등 입국 제한 조처를 한
-
“3% 바닥 치고 돌아설 것” 골드만삭스의 분석은 달랐다
━ 중국 경제 낙관론 vs 비관론 지난 17일 중국 우후시 의 한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전기청소차를 만들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3%.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다. 당
-
강아지 진료도 이제 온라인에서…中 최대 동물병원 체인 '신루이펑'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증하면서 ‘펫코노미(Petconomy)’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펫코노미란 반려동물(Pet)과 경제(Econom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 산업을 뜻한
-
“질보다 양이 승부를 가른다” 미 해군이 중국을 두려워할 이유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침몰한 미국의 전함 애리조나. 사진 셔터스톡 1941년 발발한 태평양 전쟁은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시작됐다. 이 공격으로 일본
-
‘음식물 쓰레기’ 배출 세계 1위 中, 올해는 오명 벗을 수 있을까
중국의 최대 명절, 춘제(春節, 음력 설)가 다가온다. 코로나 19 방역 완화로 움직임이 자유로워진 중국의 올해 설은 지난 3년과는 차원이 다른 ‘민족대이동’이 예상된다.
-
공개 4일 만에 천만 뷰? 대륙 뒤흔든 ‘이 만화’
「 공개 4일 만에 천만 뷰, 더우반 평점 9.6점 」 '중국기담(中國奇譚)' 포스터. 사진 더우반 애니메이션 ‘중국기담(中國奇譚, Yao-Chinese Folktales)’이
-
‘新 성장 동력’ 미래가 기대되는 중국 광역 도시권 어디?
중국 광역 도시권의 전략적 지위가 달라지고 있다. 인구, 물류, 교통, 지역 경제 성장 모델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기존 3대 광역 도시권-징진지(京津冀), 장강 삼각주(长三角)
-
레이쥔의 연이은 사임…샤오미 전기차 출시 임박했나?
레이쥔(雷軍) 샤오미 회장. 사진 신랑차이징 레이쥔(雷軍) 샤오미 회장이 전기차 신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불필요한 공력을 줄이고 있다. 기업정보플랫폼 톈옌차(天眼查)에 따르면
-
‘코로나 덕에 상장?’…中 자가키트의 유니콘, 페이펑바이오
셔터스톡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누구나 한 번쯤은 사용해 봤을 ‘자가 키트’. 면봉을 양쪽 코 안쪽에 넣고 10회 정도 문지른다. 이후 면봉을 용액통에 넣고 저은 후 검체 추출액을
-
“中으론 부족해” 레고가 택한 두 번째 아시아 기지, 어디?
[사진 셔터스톡] 글로벌 1위 장난감 제조업체 레고가 아시아 두 번째 제조 공장 착공에 들어갔다. 2024년 생산 개시를 목표로 한 해당 공장은 44헥타르(108acre) 크기로
-
[중국읽기] 춘절과 폭죽, 애국주의
유상철 중국연구소장·차이나랩 대표 중국은 설을 춘절(春節)이라 한다. 과거엔 한 해의 으뜸 날 아침이란 뜻의 원단(元旦)이라고 불렀다. 그러던 게 신해혁명(辛亥革命) 이후 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