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세계로 가는 우리 농식품 공기업 시리즈 ③ 농축산식품] 비대면·건강·가정식이 키워드 … ‘K-푸드’로 코로나 위기 돌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1면

코로나19로 안전한 생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은 시기에 ‘K-푸드’가 한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온라인 수출상담회 모습. [사진 aT]

코로나19로 안전한 생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은 시기에 ‘K-푸드’가 한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온라인 수출상담회 모습. [사진 aT]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속에서도 부지런히 한 걸음씩 나아가는 분야가 있다. 바로 한국 농축산식품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안전한 생활,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다. ‘K-푸드’가 국내는 물론 전 세계에서 다시금 각광을 받는 이유다.

안전한 먹거리에 전 세계가 주목 #김치·라면·쌀가공품 수출 늘어 #농식품 정책 따른 민관 협력 결실

15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농림축산식품 수출액은 48억4567만 달러(약 5조7500억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7%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전 세계 경기 침체로 한국 전체 수출은 8월까지 6개월 연속 뒷걸음질(전년 대비)이지만, 농림축산식품만은 예외다.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은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도 김치와 라면, 쌀가공식품 등을 중심으로 한국 농식품 수출이 늘고 있다”며 “한국 영화·드라마의 인기 등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K-방역’의 성공, 민간과 정부의 수출 확대 노력 등 맞물려 나온 결과”라고 밝혔다.

여기에서 안주할 수는 없다. 코로나19 이후 한국 농축산식품 수출이 한 단계 더 올라서려면 지금이 더 중요하다. 김 장관은 “코로나19를 계기로 식품 소비 경향이 비대면, 건강, 가정식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다”며 “농식품 수출 정책도 그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오프라인 유통 매장 위주였던 마케팅 지원을 온라인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비대면 방식으로 과감히 전환하고, 한국 식품 기업의 온라인 수출 역량도 지속해서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농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코로나19로 국제식품박람회가 취소되거나 연기되자 온라인 기반 수출 상담회를 기획해 지난 4월부터 진행하고 있다. 10개국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상담회를 개최해 3000만 달러 규모 상담 실적을 기록했다. aT는 연말까지 대규모 온라인 수출 상담회, 국가별 유력 온라인몰 내 한국 농식품 전용관 개설, 세계 각국 배달 애플리케이션 연계 온라인 판촉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대한민국 농업박람회’도 온라인으로 개최한다. 오는 24~27일 인터넷 홈페이지, 유튜브 등을 통해서다. 코로나19로 일자리를 구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구직, 도시농업, 귀농·귀촌 정보 소개와 농업기술, 말산업, 축산물 브랜드 페스티벌을 망라한다.

농촌진흥청은 코로나19와 맞물려 새로운 영역을 다져나가고 있다. 치유농업이다. 단순 생업이나 여가가 아닌 치유 측면에서의 농업이다. 대부분 질병의 원인이 되는 스트레스, 운동 부족, 부적절한 식습관 등을 직접 농사를 지으며 풀어나가는 개념이다. 농진청은 치유농업 연구개발부터 보급까지 내용을 담은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법’을 지난 3월 제정해 후속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어촌·항만 개발, 수질·토양 개선, 안전 진단, 태양광 등 다양한 분야의 해외 진출에 나서고 있다. 지난 1월 공사가 국내에서 시행하는 모든 사업을 해외에도 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의 ‘한국농어촌공사 및 농지관리기금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어느 때보다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은 만큼 인증제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직접 매장에 가서 농산물의 품질을 확인하기 어려운 만큼 국가인증제도의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농관원은 농식품 국가인증제도로 친환경인증제도, 농산물우수관리(GAP)인증제도, 지리적표시제도, 전통식품 품질인증제도, 술 품질인증제도 등을 관리하고 있다. 농관원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농식품 안전과 품질 관리를 강화하는 데 힘을 모으고 있다”고 강조했다.

세종=조현숙·임성빈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