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세기 투입 추진하고, 미 상의와 합의문…재계, 코로나로 막힌 '국경 뚫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기업들의 고립 상태를 뚫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 19 확산을 우려한 주요 교역국들이 한국을 비롯한 외국인 입국을 통제하면서 해외 출장 등 정상적인 기업활동이 위협받고 있어서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정부와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이하 코트라)가 국내 중소기업의 생산거점이 몰려 있는 베트남에 대규모 인력 파견을 위한 전세기 투입을 추진한다. 베트남 정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외국인 입국을 전면 중지해 현지 진출 국내 중소기업들이 공장 가동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2004년 7월 베트남 정부가 한국인에 대한 무사증(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지 16년 만에 처음이다.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논의를 위한 경제주체 원탁회의에서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인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왼쪽)이 18일 청와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논의를 위한 경제주체 원탁회의에서 박용만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인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현지 정부 설득해 전세기 운항 목표
현재는 주베트남 한국 대사관이 현지 정부를 설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설득에 성공할 경우 이르면 다음 달 중순 200여 명이 전세기 편으로 베트남에 출국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당장 현지 생산라인 신ㆍ증설이 필요한 국내 중소기업들이 우리 정부에 피해를 호소하며 전세기 파견을 건의해 온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한국은 베트남의 1위 투자국 

대한민국은 베트남의 1위 투자국.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대한민국은 베트남의 1위 투자국.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국은 베트남의 1위 투자국이다. 코트라에 따르면 198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베트남에 677억 달러를 투자했다. 이는 135개 투자국 중 최대로 전체 외국인 투자의 18.7%를 차지하는 규모다. 이어 일본(593억 달러), 싱가포르(498억 달러), 대만(324억 달러), 홍콩(234억 달러) 순으로 투자액이 많다.

하노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엔 삼성과 LG 등 대기업들이, 호찌민 중심의 남부엔  의류ㆍ섬유 등 경공업을 비롯해 유통과 부동산, 건설 등 다양한 분야의 투자가 이뤄져 왔다. 하지만, 베트남 정부는 최근 삼성디스플레이와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의 엔지니어 600여 명만 예외적으로 입국을 허용한 상태다. 그래서 다수의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 역시 최근 지방정부 등에 입국을 허용했으면 하는 국가의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해당 기업의 기술진이 입국하지 못할 경우 어떤 차질이 발생하는지 파악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이번 전세기 투입의 성사 가능성도 클 것으로 대한상의 등은 보고 있다.

전경련, 미 상의와 "항공화물 인력 격리의무 면제" 공동 합의문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중앙포토]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중앙포토]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와 미국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ㆍ미국상의)도 이날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양국 간 경제협력에 차질이 없도록 민간 공조를 이어나가자는 내용의 공동 합의문을 발표했다. 미국상의는 미국 내 300만 이상의 회원사를 거느린 최대 민간 경제 단체다. 합의문을 통해 두 기관은 코로나 19 사태 해결을 위해선 한ㆍ미 양국은 물론 국제 협력이 필수라는 데 공감했다. 전경련은 코로나 19 저지를 위해 긴밀한 민관 협력을 이어온 한국의 사례를 미국 상의에 전달하기로 했다. 그 일환으로 한국 의료장비 수출기업 리스트도 공유했다.

두 기관은 합의문을 통해 ▶화물 네트워크가 지속하도록 업무 중 대중과 접촉하지 않는 항공화물 인력들에 대해서는 정부의 14일간의 격리 의무를 면제 ▶ 기존 여객기로 운송되던 중요 의료 물품들이 차질 없이 운반되도록 특별수송 업계와 협력 ▶필수 의료물품에 대한 수출규제 저지 ▶향후 국제 여행의 재계를 논의하는 데 있어 실증 자료와 위험도를 기반으로 접근 등을 촉구했다.

이수기 기자 lee.sook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