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조급해하다’는 왜 붙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기다리면 기회는 온다. 조급해하지 마라!” 경기가 안 풀릴 때 감독이 건네는 이 한마디가 선수들에겐 초심으로 돌아가 다시 뛸 수 있는 힘을 준다. 일상에서도 종종 듣는 이 조언 속의 ‘조급해하다’는 붙이는 게 맞을까? “조급해 하지 마라”와 같이 띄어 쓰면 안 된다.

‘조급해’ 뒤의 ‘하다’는 보조용언이다. 본용언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하다’는 앞말이 의미하는 대상에 대한 느낌을 가짐을 나타낸다. 보조용언도 하나의 단어이므로 본용언과 띄어 쓰는 게 원칙이다. 경우에 따라 붙이는 것을 허용하나 띄어서 틀릴 일은 별로 없다. 예외가 있다.

‘조급해하다’처럼 ‘-아/-어하다’ 꼴은 앞말에 붙여야 한다. 형용사(조급하다)에서 동사(조급해하다)로 품사가 바뀌어 하나의 단어로 취급한다. ‘궁금해하다’ ‘예뻐하다’도 마찬가지다.

다만 ‘-아/-어하다’가 구(句)에 결합할 때는 띄어 쓴다. ‘마음에 들어 하다’ ‘내키지 않아 하다’와 같은 경우 ‘하다’를 뒷말에 붙이면 구 전체에 ‘-아/-어하다’가 결합한 것이란 점을 제대로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보조용언을 앞말에 붙여 쓰는 것만 허용하는 경우론 ‘-아/-어지다’도 있다. “서로 친해지다”에서 ‘지다’는 형용사 뒤에 사용해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보조용언이다. “꿈이 이루어지다”에서 ‘지다’도 보조용언으로, 동사 뒤에 사용해 앞말이 의미하는 대로 하게 됨을 나타낸다. ‘친해 지다’ ‘이루어 지다’처럼 띄어 쓰지 않는다.

‘-아/-어지다’가 붙어 형용사(친하다)나 타동사(이루다)가 자동사로 쓰인다는 점에서 언제나 앞말에 붙여야 한다.

이은희 기자 lee.eunhee@jtbc.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