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일본·독일보다 많아…영국·프랑스 2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충남의 한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연기가 뿜어오르고 있다. 한국은 세계 7위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중앙포토]

충남의 한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연기가 뿜어오르고 있다. 한국은 세계 7위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중앙포토]

지난 10년 동안 주요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사이 한국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해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국민 한 사람이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유럽 국가의 두 배 수준에 이르러 에너지 효율 제고와 절약 등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최근 발표한 온실가스 통계자료를 보면 한국은 화석연료 연소를 통해 2017년 한 해 6억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 세계 7위를 기록했다. 국민 1인당 배출량은 11.7톤이었다.

1위 중국은 92억 5790억톤(1인당 6.68톤), 2위 미국은 47억 6130만톤(1인당 14.61톤), 3위 인도는 21억 6160만톤(1인당 1.61톤)이었다.

4~6위는 러시아와 일본, 독일이 차지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온실가스 배출량 변화.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일본은 전체 배출량은 11억 3240억톤으로 한국의 두 배 수준이었으나, 1인당 배출량은 한국보다 작은 8.94톤이었다.

6위 독일도 1인당 배출량은 8.7톤으로 한국보다 작았다.

일본·독일은 2007년에 비해 1인당 배출량이 줄었으나, 한국은 2007년 10.09톤보다 늘었다.

선진국 배출량 꾸준히 감소

지난 4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독일 북부 사스니츠에 위치한 아르코나 풍력발전단지 개막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지난 4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독일 북부 사스니츠에 위치한 아르코나 풍력발전단지 개막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더욱이 영국·이탈리아·프랑스·스페인 등은 전체 배출량이 4억톤 이하였고, 1인당 배출량도 한국의 절반 수준인 6톤 이하였다.

2007년 영국은 전체 배출량이 5억 2301만톤으로 당시 한국의 4억 8871만톤보다 배출량이 많았으나, 2017년에는 3억5870톤으로 10년 사이 31.4%나 줄였다. 1인당 배출량도 8.6톤에서 5.43톤으로 줄였다.

이탈리아와 스페인도 10년 사이 전체 배출량이 26.5%가 줄었고, 프랑스도 17%가 줄었다.

러시아·캐나다·호주도 1인당 배출량 감소와 함께 전체 배출량도 러시아는 3.2%가, 캐나다는 4.4%, 호주는 2.9%가 줄었다.

2007년 호주는 1인당 배출량이 18.75톤, 캐나다는 17.37톤이었으나, 2017년에는 각각 15.63톤과 14.99톤으로 줄었다.
한국과의 격차도 줄어든 것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오진규 박사는 "영국이나 독일 등 유럽국가들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있다"며 "이들은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도 있지만,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도 재생에너지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독일보다 더 줄인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 몬터레이의 셰일 생산 기지. [AFP=뉴스1]

미국 캘리포니아 몬터레이의 셰일 생산 기지. [AFP=뉴스1]

파리 기후협약 탈퇴를 선언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에 소극적인 미국의 경우도 미국의 경우도 57억 6931톤을 배출했던 2007년에 비해 2017년에는 17.5%나 줄었다. 19.1톤이나 됐던 1인당 배출량도 39%나 줄었다.

2007~2017년 사이 8.4%를 줄인 일본이나, 10%를 줄인 독일보다도 더 많이 줄인 셈이다.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그래픽=김영희 02@joongang.co.kr

오 박사는 "미국이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었던 것은 셰일가스 덕분"이라며 "낡은 석탄화력발전소를 폐쇄하고 대신 천연가스를 사용하면서 빠른 속도로 감축한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과거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202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수준에서 26~28% 줄이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도 지난해부터 온실가스 감축 속도가 느려져 거의 정체 상태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청정기술 개발이나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개도국 배출량 급격하게 증가

중국 샨시성 헤진에 위치한 석탄을 가공해 카본블랙(탄소 분말)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연기와 수증기가 배출되고 있다. 카본블랙은 철강 생산에 사용된다. [AP=연합뉴스]

중국 샨시성 헤진에 위치한 석탄을 가공해 카본블랙(탄소 분말)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연기와 수증기가 배출되고 있다. 카본블랙은 철강 생산에 사용된다. [AP=연합뉴스]

중국의 경우 2007~2017년 사이 53.6%가 증가했고, 인도는 63.3%, 터키 42.9%, 인도네시아는 31.6%가 늘어났다.
카자흐스탄(34.3%)이나 브라질(23.2%), 남아프리카공화국(22%)도 빠르게 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48.7%나 이란 21.7% 등 산유국들의 경우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

한국도 22.8%가 늘어나 다른 개도국과 별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반면 지난 10년간 멕시코는 1.8%, 폴란드는 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오 박사는 "한국은 중화학공업 등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구조 탓도 있지만, 건물·수송·가정 등 전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다"며 "이 같은 상황이 앞으로도 지속할 수는 없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소비를 줄이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