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합의 안 했다" 열흘 뒤 "中 요구에 美 관세 철회 논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9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질문을 듣고 있다. [AP=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미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질문을 듣고 있다. [A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이루기 위해 현재 부과 중인 관세를 철회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룸버그 "1단계 무역합의 성사 위해…" #中 "5월 이후 관세 즉각 철회하라" 요구 #"5월 결렬 합의안 기준 철회 규모 논의" #트럼프는 "합의 안 하면 관세 올릴 것"

같은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각료회의에서 "중국과 무역합의를 하지 않으면 나는 중국산 상품에 대한 관세를 더 높이겠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미·중 양국은 지난 5월 결렬된 합의안을 기준으로 1단계 무역합의에서 얼마만큼의 관세를 철회할 것인지를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양국 관료들이 지난 5월 성사 직전까지 갔다가 불발된 합의안을 다시 꺼내어 이를 기준으로 관세 철회 규모를 협상 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지난 7일 중국 상무부가 "양국이 관세 철회에 합의했다"고 발표하자 다음 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나는 아무것도 합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트럼프가 관세 철회를 부인한 지 열흘 만에 미국의 관세 철회 방안 검토가 알려졌다.

무역합의 내용과 관세 철회 규모를 연결지을 경우 관세 철회 폭이 커질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합의에 담으려는 요구사항이 많을수록 중국은 원하는 관세 철회를 더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가오펑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중국과 미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하게 되면 기존 관세 철회 수위는 1단계 무역합의의 중요도를 반영하게 된다"고 말했다.

중국은 지난 5월 이후 미국이 중국산 상품에 부과한 관세를 즉각 철회하고, 그 이전에 부과한 관세는 점진적으로 없앨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존 관세 철회는 중국이 협상 초기부터 요구해 온 사항이다. 중국이 미국으로 수출하는 상품 대부분에 관세가 부과되면서 중국 경제에 영향이 깊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중국산 제품 3600억 달러 규모에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 가운데 지난 5월 이후 부과 중인 관세는 1100억 달러 규모에 관세율 25%이다.

반면 백악관 안에서는 얼마만큼의 관세를 거둬들이느냐에 대해 여전히 논쟁이 진행 중이다.

일부 관료들은 중국이 무역합의를 지키게 하는 담보 장치로서 대중 관세를 장기간 유지해야 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에게 조언해 왔지만, 이제는 1단계 무역합의 서명을 위해 관세 일부를 완화할 여지가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다만 얼마만큼의 관세를 물러줄 것인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갈린다. 현재 내부적으로 논의 중인 수치는 35%에서 60%까지 폭이 넓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국 측 협상 대표인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35%를 주장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합의에서 60%를 언급했다.

워싱턴=박현영 특파원 hypar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