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제재로 작년 北서 최소 4000명 사망”

중앙일보

입력

대북 제재, 흉작으로 지난 2018년 북한의 경제성장이 21년만에 최악을 기록했다는 추정이 나왔다. [연합뉴스TV=연합뉴스]

대북 제재, 흉작으로 지난 2018년 북한의 경제성장이 21년만에 최악을 기록했다는 추정이 나왔다. [연합뉴스TV=연합뉴스]

강도 높은 대북 제재로 지난해 북한에서 최소 3968명이 사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여성평화운동네트워크는 31일 발간한 '대북제재로 인한 북한 주민의 피해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자 3968명 가운데 3193명은 5세 이하 유아이고, 72명은 임신한 여성"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실제 사망자 수는 이보다 더 많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북 제재로 인해 북한 내 기초 의약품 부족 문제 등을 다루는 유엔 프로그램이 차질을 빚었다. 아울러 대북 제재가 본격화한 2016년 이후 북한 경제상황이 크게 위축했고, 중국으로의 수출도 2013년 30억 달러에서 2018년 2억 달러로 급감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또 유엔 회원국이 자국에서 일하는 북한 사람들을 내쫓아 해외 북한 노동자가 급속히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특히 가족을 돌보며 노동자로 일을 해야 하는 여성 노동자가 남성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풀이했다. 그러면서 제재 직격탄을 받은 북한 섬유산업의 경우 여성 노동자 비율이 82%, 소매업이 90%라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대북 제재로 인해 산업이 위축하며 일자리를 잃는 등의 피해가 생겼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이 단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인도주의와 성인지적 평가, 인권 영향 평가를 토대로 모든 대북 제재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성평화운동네티워크는 이 보고서를 '대북 제재의 부정적 영향을 다룬 최초의 조사 결과'라며 "유엔 기구가 다루지 못한 현장의 정보와 공중보건, 경제, 역사, 여성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적 시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보고서를 정부 부처와 각국 대사관에 발송하고, 정부 부처 및 국내 전문가들과 공식 간담회를 가질 계획이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