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장에서] 통계청장 “작년과 비교 말라”지만…그래도 최소 36만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강신욱. [뉴시스]

강신욱. [뉴시스]

어제 늦은 오후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기자실이 술렁였다. 국내 비정규직 규모를 측정한 통계를 이례적으로 통계청장이 직접 발표할 것이란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참담한 결과가 나오리란 취재진의 예상은 적중했다. 올해 8월 기준 1년 새 줄어든 정규직은 35만3000명, 늘어난 비정규직은 86만7000명이었다. 지난해에는 같은 기간 3만6000명이 늘었지만, 올해 들어 ‘기하급수적’으로 비정규직이 증가한 것이다.

“통계 기준 달라져 비정규직 늘어” #그걸 참작해도 최대 51만 명 증가 #노인 단기 일자리, 알바 급증 등 #정부, 고용 현장의 ‘팩트’ 부정

강신욱 통계청장은 브리핑에서 “지난해와 비교해 비정규직 증감 규모를 온전한 증감으로 해석하지 말아 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통계 조사 방식을 바꿨더니 비정규직 규모가 35만~50만 명가량 늘었다는 게 그 이유다. 기존에는 조사 대상자에게 고용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는지만 물었다면 이번엔 고용 예상 기간까지 조사한 결과, 기간제 비정규직이 늘게 됐다는 설명이다. 쉽게 말해 과거 조사에선 ‘고용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고 응답해 ‘정규직’으로 분류된 사람이 ‘기간이 정해진 건 아니지만 고용 예상 기간이 3개월 정도 된다’고 응답하게 되면서 ‘기간제 비정규직’으로 분류됐다는 의미다. 이런 분류는 국제노동기구(ILO)에서 강화한 기준에 따른 것이다.

더 나빠진 고용의 질.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더 나빠진 고용의 질.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관련기사

조사 방식 변경으로 기존엔 정규직으로 ‘잘못’ 잡혀 있던 비정규직 규모가 숫자로 확인된 것은 통계가 한 단계 진일보한 일이다. 강 청장도 비정규직 규모를 더 자세히 포착할 수 있게 됐다는 의미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정부가 할 일은 분명해졌다. 이런 결과를 초래한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세우는 것이다. 그런데 통계청장이 직접 나서 “과거 통계와 비교하면 통계 이용자의 혼선을 야기할 수 있다”는 난데없는 해석을 붙인다. 정책당국인 기획재정부는 한술 더 뜬다. 김용범 기재부 제1차관은 같은 날 브리핑에서 “다른 조사에선 기간제 근로자의 급격한 증가가 발견되지 않고 있어 이번 조사에서 통계 (조사 변경)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규모 및 비중.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비정규직 근로자 규모 및 비중.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이런 정부 해석은 통계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비정규직이 급증한 엄연한 사실을 은폐한다. 조사 방식 변경으로 늘어난 비정규직 규모(35만~50만 명)를 참작하더라도 올해 비정규직은 최소 36만7000명에서 최대 51만7000명이 증가했다.

정부는 숫자가 말해 주고 있는 고용시장의 위험 징후를 애써 외면하는 모습이다. 같은 통계청 자료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파악한 비정규직(Temporary Workers) 규모도 나와 있다. 올해 한국은 76만70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증가 폭(11만7000명)의 7배에 달했다. 지난해에는 독일·영국·캐나다·네덜란드 등 다른 나라에선 비정규직 비중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한국만 급증했다.

최근 고용 동향의 흐름을 보면 이런 결과가 나오리란 건 비전문가도 쉽게 짐작할 수 있었다. 청와대는 “고용의 질은 개선되고 있다”고 밝혀 왔지만 실상은 노인 단기 일자리 등 재정사업과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음식·숙박업 아르바이트 증가, 1~17시간 초단기 근로자 증가 등이 고용률 상승의 원인이었다.

과거 수치와 비교할 수 없는 통계는 ‘깜깜이’ 통계다. 그런데 통계청은 정밀한 비정규직 규모를 측정했다고 해놓고 다른 의미를 부여해 불필요한 오해를 자초한다. 악화된 지표에 전 정권 탓, 외부 요인 탓으로 책임을 돌리던 정부가 이제는 ‘통계 탓’을 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