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외고 5등급이면 고대 갑니다···주광덕 외고 모르는 소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3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신을 외고 영어 내신 강사라고 주장한 네티즌의 반박 글이 올라왔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일부 캡처]

3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자신을 외고 영어 내신 강사라고 주장한 네티즌의 반박 글이 올라왔다.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일부 캡처]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의 한영외고 재학 시절 영어 성적을 공개한 주광덕 자유한국당 의원의 주장에 반박하는 글이 온라인커뮤니티에 올라왔다. 한영외고 내신 5등급 정도면 당시 고려대 입학 적정 수준이었다는 내용의 글이다.

주 의원은 3일 오후 열린 한국당 기자간담회에서 공익제보를 받았다면서 “조 후보자 딸의 영어 작문·독해 성적은 대부분 6~7등급 이하였고, 유일하게 영어 회화 과목은 4등급을 받은 적이 2번 있지만 6등급까지 내려간 경우도 2번 있었다”고 말했다.

이날 한 온라인커뮤니티에는 외고 학생의 영어 내신 강사라고 주장한 네티즌의 글이 올라왔다. 그는 “얼핏 보면 (영어 내신) 4~6등급이란 말만 보고 ‘아니, 외국 살다 왔다더니 생각보다 영어를 못했네?’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도 말씀드린다”며 “주 의원의 말은 외고 내신에 대해 전혀 모르고 하는 소리”라고 주장했다.

이 네티즌은 장문의 글을 통해 “영어 점수가 4~6등급이라면 평균 5등급이라고 쳐서 딱 중간이라고 치고, 이 정도 성적으로 고려대 입학하는 것은 딱 적정 수준으로 갔다고 보여진다”며 “주광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보면 국어가 8등급이라고 하는데, 다른 성적이 좋은 과목까지 포함해서 평균 딱 5등급 정도가 나온다면, 그당시 입시 기준으로 서울대는 못가도 고려대는 딱 적정 수준으로 진학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 네티즌은 “가르치는 교사들이 거의 평범한 한국인 교사이기 때문에 일반고에 비해 난이도가 훨씬 높긴 하지만 전형적인 한국식 수업이라 오히려 외국에 오래 살다 온 학생들이 한국식 문법 용어 등을 모르고 들어오기에 내신 영어 성적이 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주장했다.

그는 “실제 내신 4~6등급인 외고 학생들이 영어를 얼마나 잘 하는지 보면 놀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영어 선생보다 영어 잘하는 애들이 부지기수다. 어렸을 때 외국에서 살다 왔으면 말할 것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다만 내신시험은 철저하게 한국식 영어시험이기 때문에, 오히려 외국 살다 온 학생들이 점수가 더 안 나올 뿐”이라고 했다.

이 네티즌은 “내신 4~6등급은 2010학년도 기준으로 정확히 연고대를 갔다”며 “조 후보자 딸이 입학한 2007년은 외고에서 자체 영어시험을 보고 입학하던 시절이고, 한영외고 경쟁률이 6.12대1로 당시 외고 중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시기”라고 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통계를 제시하기도 했다.

앞서 주 의원은 이날 공익제보로 조 후보자의 딸 학생부를 확보했다면서 그의 고등학생 때 영어성적을 공개했다. “딸이 영어를 잘하는 편”이라는 조 후보자의 해명에 반박하기 위해서다. 주 의원은 “조 후보자가 어제 국민에게 거짓 해명을 한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전날 조 후보자는 자신의 딸이 고교시절 단국대 의과학연구소 논문 제1저자로 등재된 데 대해 “저희 아이가 영어를 좀 잘하는 편이다. 참여한 연구원들이 연구성과를 영어로 정리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한 것 같다”고 밝힌 바 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