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독자OS ‘붉은별 3.0’…자체 웹브라우저 ‘내나라 열람기’ 탑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비지니스인사이더 홈페이지 캡처]

[비지니스인사이더 홈페이지 캡처]

북한이 독자 개발한 컴퓨터 운영체제(OS) ‘붉은별 3.0’이 공개됐다.

“시간대 선택에 서울 없어…北 산천 담은 배경화면 아름다워”

전 구글 직원인 윌 스콧이 평양과학‘기술대를 방문했을 때 구매해 가져온 것으로 22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 비니지스 인사이더를 통해 공개됐다.

북한은 당초 윈도 OS를 주로 사용해왔으나 독자 OS인 붉은별 3.0을 개발한 뒤 대부분의 컴퓨터에 이를 탑재해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또 붉은별 4.0을 개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도에 따르면 ‘붉은별 3.0’을 설치한 뒤 나타나는 시작 화면은 맥 OS와 화면 구성이나 디자인이 아주 비슷하다.

북한의 독자 OS '붉은별 3.0'의 시작화면. [사진 연합뉴스, 윌 스콧 제공]

북한의 독자 OS '붉은별 3.0'의 시작화면. [사진 연합뉴스, 윌 스콧 제공]

실제 시작 화면의 기본 앱들은 맥 OS처럼 화면 하단에 한 줄로 배열돼 있고, 앱을 실행한 창의 전체적인 디자인도 맥 OS를 연상시킨다.

이 매체는 “옛 버전들은 윈도 XP와 더 비슷하게 생겼다”며 “2013년 김정은이 책상에서 아이맥을 쓰는 장면이 포착된 뒤 그가 붉은별이 좀 더 맥처럼 보이길 원했다고 어떤 이들은 생각한다”고 전했다.

OS 설치 과정에서 시간대를 선택할 수 있는데 ‘조선-평양’이라는 시간대는 있지만 ‘서울’은 선택지에 없다고 매체는 전했다.

북한의 독자 OS '붉은별 3.0'의 설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간대 설정 화면. 평양은 선택할 수 있지만 서울은 선택 항목에 아예 없다. [사진 연합뉴스, 윌 스콧 제공]

북한의 독자 OS '붉은별 3.0'의 설치 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간대 설정 화면. 평양은 선택할 수 있지만 서울은 선택 항목에 아예 없다. [사진 연합뉴스, 윌 스콧 제공]

또 자체 웹브라우저인 ‘내나라열람기’, 워드 프로세서 ‘서광사무처리’, 이메일 등이 탑재돼 있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북한의 산천을 담은 배경화면들도 일부 소개하며 ‘아름답다’(gorgeous, beautiful)고 평가했다.

배경화면은 ‘백두산의 일출’, ‘범안리의 선경’, ‘다박솔 초소의 설경’, ‘대홍단의 감자꽃 바다’ 등을 주제로 한 풍경 사진들이다.

스콧은 “지난해 붉은별 4.0도 출시됐지만 아직 북한 외부에서는 이를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배재성 기자 hongdoy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