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배우 김혜수가 낭독한 6·25 참전용사 아내의 편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64회 현충일 추념식서 전사자 아내의 편지를 낭독한 배우 김혜수. [KBS1 화면캡처]

64회 현충일 추념식서 전사자 아내의 편지를 낭독한 배우 김혜수. [KBS1 화면캡처]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는 6·25 참전용사 남편을 둔 아내의 편지가 공개돼 현충일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겼다. 특히 배우 김혜수가 편지를 대신 낭독해 그 의미를 더했다.

편지의 주인공은 1950년 8월 10일 학도병으로 입대해 1950년 10월 13일 백천지구 전투 중 전사한 고(故) 성복환 일병이다. 고 성복한 일병의 아내 김차희 할머니(93)는 현재까지도 남편의 유해를 수습하지 못한 안타까움과 그리움을 담은 '당신을 기다리며 보낸 세월' 편지를 공개했다.

문재인 대통령 추념사가 끝난 뒤 무대에 선 김혜수는 "김차희 할머니에게 이곳 서울 현충원은 할아버지 흔적을 만날 수 있는 유일한 장소다. 지금 이 편지를 듣고 계실 할아버지를 생각하며 할머니를 대신해 오랜 그리움과 간절한 소망을 전하고자 한다"며 편지를 낭독하기 시작했다.

김 할머니의 편지에는 1950년 20살 신혼 시절 6·25 전장으로 징집되어야 했던 고 성복환 일병과 남편을 떠나보낸 뒤 홀로 살아온 김 할머니의 사연이 담겼다.

김 할머니는 편지에서 "20살 결혼해 미처 신혼살림도 차리지 못하고 큰댁에서 머물던 어느 날 당신은 전쟁과 함께 학도병으로 징집됐다"며 69년 전을 떠올렸다. "상주 상산초등학교에서 잠시 머물다 군인들 인파 속에 고향을 지나가면서도 부모님께 인사조차 드리지 못한 당신의 심정이 어땠겠냐"며 남편의 마음을 헤아렸다.

이어 "징집 몇 달 만에 전장 동료로부터 당신의 전사 통지를 받았다"라며 "하늘이 무너지는 아픔이었다"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당신의 흔적을 찾으러 현충원에 갈 때마다 회색 비석이 군복을 입은 군인이 쓰러져 있는 모습으로 보였다"고 했다.

김 할머니는 "어떤 이가 국립묘지 구경하러 간다는 말에 가슴이 미어진다"면서 "젊은 청춘을 바친 무덤을 보고 어찌 구경하러 간다는 말을 할 수 있을까"라고 씁쓸한 마음을 전했다. "당신을 위해 한 것이 없어 원망할 수 없다"고 한 김 할머니는 "마지막으로 소망이 있다면 당신의 유해가 발굴돼 국립묘지에 함께 묻히는 것뿐"이라고 소망을 전했다.

김 할머니는 "내게 남겨진 것은 젊은 시절 당신의 증명사진 하나뿐인데 그 사진을 품고 가면 구순이 훌쩍 넘은 내 모습 보고 당신이 놀라지 않을까 걱정되지만, 난 아직도 당신을 만날 날만을 기다린다"며 편지를 마무리했다.

김혜수는 김 할머니의 편지를 차분하면서도 담담한 목소리로 낭독했다. 이에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를 비롯해 일부 참석자는 눈시울을 붉히고, 눈물을 보였다.

이민정 기자 lee.minj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