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화웨이 때리자 실리콘밸리 주가 급락…멍완저우 체포의 역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멍완저우(孟晩舟·46) 화웨이 최고재무책임자(CFO) 체포를 주도한 미국 정부가 제 발등을 찍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 글로벌 IT기업들은 납품 생태계를 이루며 긴밀히 엮여있다. 이대로라면 실리콘밸리 내 미국 기업들에 부메랑으로 피해가 돌아갈 것이란 경고가 나온다.

화웨이, 미국 인텔·퀄컴 등서 #연간 11조원 반도체 부품 사들여 #거래 끊으면 큰 타격 불가피 #“관세보다 은밀한 기술전쟁 시작”

화웨이는 2015년 세계 1위 통신설비 회사로 발돋움했다. 세계 최정상급 IT기업에서 주요 부품을 사들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내 ‘거인’으로 꼽히는 인텔과 브로드컴, 퀄컴이 모두 화웨이의 최대 반도체 부품 공급업체라고 보도했다. 이들은 기지국과 라우터, 스마트폰 등 전 제작 라인에 걸쳐 화웨이에 부품을 공급한다.

화웨이가 이들 기업에서 올해 사들인 부품 총액은 100억 달러(약 11조2600억원)로 추산된다. 지난해 80억 달러에서 1년 새 25% 늘었다. WSJ는 이 금액이 “미국이 중국에 파는 연간 자동차 수출액과 맞먹는 규모”라고 전했다. 가트너는 화웨이의 미국산 사용 규모가 이보다 더 큰 것으로 본다. 지난해 구매액이 140억 달러(약 15조7600억원)로 전년 대비 32% 커졌다고 집계했다.

인텔은 화웨이가 공식 발표한 ‘전략적 파트너’다. 미래 먹거리 공유를 위해 단순 납품관계 이상의 제휴를 맺고 있다. 지난 5일 화웨이가 시범 운영을 끝냈다고 발표한 5세대 (5G) 이동통신 기술에 인텔 프로세서가 탑재됐다. 퀄컴은 2015년 화웨이와 함께 중국 상하이에 합작투자회사를 설립했다.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 프로젝트다. WSJ는 “미국 기업들이 화웨이가 세계적인 통신 사업자가 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전했다.

화웨이는 누구보다도 이 같은 상황을 잘 알고 있다. 멍 CFO가 캐나다에서 체포되기 하루 전인 지난달 30일 처음으로 주요 납품업체 92곳 명단을 공개했다. 동맹국에 화웨이 사용 금지 방침을 확산하는 등 미 정부의 압력이 거세지자 위기를 직감하고 경고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화웨이가 공개한 핵심 납품사 중 36%(33곳)가 미국 기업이었다. 중국 기업(37곳) 다음으로 많았다. 일본(11곳), 독일(4곳)이 뒤를 이었고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2곳이 포함됐다. 화웨이는 삼성이 만든 스크린과 저장장치를 쓴다.

IT컨설팅업체 IBS의 핸들 존스 최고경영자(CEO)는 “화웨이가 미국 공급업체와 거래를 끊으면 그 충격이 작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화웨이가 내리막길을 걸으면 인텔과 퀄컴, 브로드컴의 동반 실적 하락이 불가피하다. 이미 멍 CFO 체포 소식이 전해진 뒤 세 회사 모두 뉴욕증시에서 주가가 2~5%가량 떨어졌다.

일단 화웨이는 미국 협력사들과 잡은 손을 놓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멍 CFO 체포 소식이 전해진 6일 글로벌 협력사에 공개서한을 보내 “미국 측의 부당한 행위와 무관하게 화웨이와 세계 공급사와의 관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그렇다고 화웨이 발(發) IT 침체 위험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멍 CFO가 미국에 송환될 경우 사태가 급격히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미국이 멍 CFO를 조사한 뒤 화웨이가 국제 제재를 위반했다고 결론 내릴 경우다. 전문가들은 화웨이가 궁지에 몰리면 제 살 깎아 먹기를 감수하고 미국 및 동맹국 기업 납품을 끊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본다.

화웨이를 둘러싼 미·중 갈등은 해결 실마리를 쉽게 찾기 어려울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양국이 관세보다 은밀하고 파괴적인 IT 기술 싸움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미 경제전문채널 CNBC는 “미·중 무역전쟁의 본질은 ‘관세 전쟁’이 아닌 ‘기술 전쟁’”이라는 전문가 시각을 전했다.

심새롬 기자 saero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