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희기자의뒤적뒤적] 밥맛 타령이나 하던 서울내기 벼 포기 안고 "아이구…내 새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씨앗은 힘이 세다
강분석 지음, 푸르메

직장인들이 흔히 그러죠. 퇴직하면 시골에서 농사나 짓겠다고요. 그런데 일찍 고향에 내려가 농사를 짓는 선배를 만났더니 "농사, 그거 아무나 하는 거 아니다. 꿈 깨라"며 고개를 젓더군요. 언론에서나 보는 여유롭고, 목가적인 농촌풍경은 농촌의 실상, 농부의 땀과는 거리가 멀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런데 이 책, 일종의 귀농일기입니다. 지은이는 독일어를 전공해 잡지와 홍보 일을 20년 가까이 한 서울내기입니다. 마흔 살이 되면 농부가 되겠노라고 노래를 부르던 남편을 따라 아무 연고도 없는 충청도 시골에 덜컥 집을 짓고 농투성이가 되었습니다. 1997년 일입니다.

400평 밭에 들깨와 두릅 농사로 시작한 첫해 수확은 고작 들기름 몇 병이었답니다. 그러구러 9년, 얼마나 우여곡절이 많았겠습니까.

"생전 처음 내 손으로 심은 콩알이 제 몸무게의 몇백 배나 되는 흙을 뚫고 초록색 새싹으로 올라왔던 날을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존재로 보면 저나 나나 똑같다는 것을 일러주는 듯, 작은 싹은 당당하고 아름다웠습니다." 책 제목이 비롯된 구절입니다.

"생전 처음 벼를 베던 날, 나도 모르게 '아이구, 내 새끼!'하며 벼를 가슴에 부둥켜안았던 순간을, 그 마음을 잊지 않기를 스스로에게 당부한다." 이 대목은 어떻습니까? 매끼 밥을 먹으면서도 그것이 어떻게 밥상에까지 오르게 되었는지를 생각한 적이 거의 없던 이가, 두부나 콩국수를 먹으며 맛타령이나 하던 이가 "씨 뿌리고, 땡볕에서 바랭이며 피를 뽑느라 땀 흘리고" 나서 얻은 깨달음입니다.

그렇다고 농촌 생활이 늘 이처럼 충만하고 기껍기만 한 것은 아니었답니다. 같은 귀농자에게 묵정밭을 빌려 고구마를 키웠는데 고생 끝에 제대로 된 밭을 일궈놓으니 진입로를 막더랍니다. 수확은 둘째치고'돈 잃고 사람도 잃는구나'하는 생각에 잎이 무성한 고구마 밭을 보며 서럽게 울기도 했답니다. 멧돼지며 고라니가 수확을 앞둔 복숭아며 벼를 파헤쳐 낙담한 일, 이웃 논의 제초제가 날아들어 무농약으로 공들인 모가 몸살을 앓은 기억, 남들 논과 달리 중년의 성긴 머리처럼 되어버린 논을 보며 애태우던 아픔도 잔잔히 담겼습니다.

주말을 보내고 출근한 월요일, 눈에 띈 책을 단번에 읽었습니다. 시큰한가 하면 뭉클하고, 부럽기도 하고 감탄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생각했습니다. '진정이 담긴 글은 힘이 세다'라고.

진입로가 없는 맹지는 구입하지 마라, 마을 주민은 사돈같이 대하라 등 '귀농 십계명'같은 글은 소중한 덤입니다.

김성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