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물부족국가' 베트남에 한국인 '빗물전도사'가 뜬다

중앙일보

입력

베트남 통덕탕대학에 설치된 빗물식수화시설을 만들고 있는 모습. [사진 한무영 교수]

베트남 통덕탕대학에 설치된 빗물식수화시설을 만들고 있는 모습. [사진 한무영 교수]

베트남은 남북으로 길게 뻗은 국토 대부분이 바다와 맞닿아 있고 메콩강이 캄보디아부터 흘러내려와 남중국해로 향한다. 수자원이 풍부할 것 같지만 정작 베트남은 '물부족 국가'다. 지하수엔 비소 등 중금속이 다량으로 포함됐으며, 하수처리시설이 부족해 오염 하수가 그대로 강으로 흘러가 식수로 쓰기 어렵다.

베트남의 물부족을 한국의 '빗물 정화 기술'이 해결할 수 있을까. 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이런 실험에 나선다. 8일 한 교수팀에 따르면 8일 베트남 호치민시의 통덕탕 대학에 12t 규모의 빗물식수화시설을 이날부터 본격 가동한다. 한 교수는 “지난달 현지를 찾아 베트남 인력과 함께 현지에서 구할 수 있는 자재로 공사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통덕탕 대학교의 미대 학생들이 물탱크에 그림을 그려 넣은 모습. [사진 한무영 교수]

통덕탕 대학교의 미대 학생들이 물탱크에 그림을 그려 넣은 모습. [사진 한무영 교수]

탱크 4대로 4중 정화 후 식수 사용 

이 시설은 대학교 체육관에 설치됐다. 체육관 지붕 일부(200㎡)에 떨어지는 빗물이 1.5t짜리 물탱크 4대를 지나, 마지막으로 2단계의 필터까지 거치면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물이 된다.

한 교수팀은 빗물 속 오염물질들이 가라앉는다는 점을 주목했다. 탱크 아래로 오염물질이 자연스레 가라앉으면 좀 더 맑아진 물만 옆 탱크로 이동한다. 탱크 4대를 연결했기 때문에 이런 정화 방식을 4차례 거치게 되는 셈이다. 한 교수는 이런 시설을 체육관 내에 두 군데로 나눠 만들어 총 12t 규모의 식수를 얻을 수 있는 시설을 만들었다. 음용기는 체육관 1층 로비에 마련했다.

한무영 교수가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건물 옥상에서 설치된 빗물 저장 물탱크에 모인 빗물을 물조리개에 담고 있다. 조한대 기자

한무영 교수가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건물 옥상에서 설치된 빗물 저장 물탱크에 모인 빗물을 물조리개에 담고 있다. 조한대 기자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 최신 기술 적용 

특히 한 교수팀은 실시간으로 수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최초로 도입했다. 각 탱크 등에 산성도·전기전도도·온도를 확인하는 센서를 달았다. 수질 이상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연구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이를 확인하는 업무는 통덕탕 대학생들이 맡는다. 한 교수팀은 2007년부터 아프리카·필리핀·솔로몬군도 등에 빗물식수화시설 20여개을 만들었지만 이번처럼 실시간 확인 기술이 접목된 적은 없었다.

"빗물식수화 기술은 '콜럼버스 달걀'" 

베트남은 빗물 이용에도 유리한 조건이다. 호치민의 연 평균 강우량은 1868㎜, 하노이는 1684㎜다. 반면 서울의 강수량(눈·우박 등 포함)은 1373㎜다. 지난달 베트남은 태풍 ‘손띤’의 영향으로 인명 피해를 포함한 심각한 물난리를 겪었다. 3일간 464㎜가 내릴 정도다. 한 교수는 "현재는 이렇게 버려지고 피해까지 입히는 빗물이 앞으로는 베트남의 소중한 자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빗물 식수화는 한국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2012년 한 교수팀은 전남 신안군 기도에 빗물이용시설을 만들었다. 주민들이 평소에 사용할 생활용수뿐 아니라 마실 물이 마련됐다. 그전까지 기도 주민들은 육지에서 생수를 사와야 했다.

앞서 2006년에는 서울 광진구의 한 주상복합건물에 빗물저장시설을 만들었다. 이곳에 모인 빗물은 건물 주변 분수·스프링클러·공용화장실 등에 쓰인다. 호주 같은 선진국에서도 빗물이용시설을 만드는 건물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기도 하다.

한 교수는 “빗물식수화기술은 ‘콜럼버스의 달걀’과 같다”며 “사람들은 빗물을 식수로 쓴다는 데 거부감이 있지만, 큰 비용·기술이 들지 않으면서도 식수난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라고 말했다.

조한대 기자 cho.hand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