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까지 짜서 이용호 만난 日 고노, “정상회담 제안은 오보"

중앙일보

입력

납치문제 해결을 위해 북·일 대화를 모색하고 있는 일본의 고노 다로(河野太郎)외상과 이용호 북한 외무상이 지난 3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환영 만찬 도중 따로 만났다.

3일밤 ARF 만찬장 대기실서 만나 "일본 입장 전했다" #다음날 '정상회담 제의했다'보도엔 "오보"라고 발끈 #북한엔 "납치문제 해결하자",미국엔 "대북 제재 유지"

ARF에 참가한 고노 다로 일본 외상이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ARF에 참가한 고노 다로 일본 외상이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 북ㆍ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아베 신조(安倍晋三)총리가 북ㆍ일 정상회담에 대한 의지를 밝힌 뒤 일본과 북한의 외교장관이 얼굴을 직접 마주한 건 처음이다.

이 외무상을 만난 뒤 고노 외상은 기자들에게 “일본의 생각과 기본적인 입장을 말했다. 여러가지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

‘이용호의 표정이 어땠나’, ‘영어로 했나,아니면 통역이 있었느냐’, ‘한 번 마주쳤나. 두 번 인가’ 등 질문이 쏟아졌지만 고노 외상은 “더 이상은 말씀 드릴게 없다”는 답변만 9번이나 반복했다.

아사히 신문 보도에 따르면 이번 만남은 일본 측이 정교하게 준비한 것이다.
만남 당일인 3일 오전 일본 대표단이 머물던 호텔의 객실에선 고노 외상과 그를 수행한 가나스기 겐지(金杉憲治)아시아·대양주 국장 간에 이런 대화가 오갔다.

고노=“어느 타이밍에 이용호 외상과 만날 수 있을까”
가나스기=“제가 유도하겠습니다”

두 사람은 참가국 대표들이 모두 모이는 이날 밤 ARF 만찬장에서의 접촉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4일(현지시간) 아세안안보포럼에 참석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이용호 북한 외무상을 만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친서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답신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사진 마이크 폼페이오 트위터]

4일(현지시간) 아세안안보포럼에 참석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이용호 북한 외무상을 만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친서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답신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사진 마이크 폼페이오 트위터]

이런 노력들이 결실을 본 탓에 결국 만찬장밖 대기실에서 두 사람이 비록 짧은 시간동안이지만 서로 악수를 하고 선 채로 대화를 나누는 기회가 마련됐다.

고노 외상은 자세한 설명을 꺼렸지만 일본 언론들은 “2002년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총리와 김정일 국방위원장간에 합의된 북ㆍ일 평화선언에 기초해 납치, 핵ㆍ미사일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일본의 자세엔 변함이 없고, 북ㆍ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용의가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6월 북미회담이후 아베 총리가 “납치문제는 북ㆍ일 정상간 직접 대화로 풀어야 할 문제”라고 강조해왔기 때문에 어쩌면 당연한 수순이었다.

하지만 다음날 관련 보도가 나온 뒤 고노 외상은 “정상회담을 제안했다는 건 완전한 오보”라고 발끈했다.

이를 두고는 “북한 대표단 관계자가 일본 언론에 ‘고노 외상과의 대화는 회담을 한 게 아니라 단순한 접촉이었을 뿐’이라고 평가절하한 데 대해 불쾌감을 표출한 것”, “북한에 대화를 구걸한 것처럼 비쳐졌기 때문”이라는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짧은 접촉이 이뤄졌지만 북한과 일본 사이에 제대로된 대화의 물꼬가 당장 트일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회의론이 일본내에서도 나온다.

먼저 일본 정부는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대북 강경 자세를 풀지 않고 있다.

 고노 외상은 4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의 양국 외교장관 회담에서도 “유엔 안보리 결의에 기초한 대북 제재를 유지해야 한다. 공해상에서의 선박 환적 등을 통한 북한의 유엔 제재 위반을 적발하기 위해 연계하자”는 방침을 재확인했다.

4일 회담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일본의 고노다로 외상.[로이터=연합뉴스]

4일 회담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일본의 고노다로 외상.[로이터=연합뉴스]

한편으론 납치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를 모색하면서도 한편으론 국제사회에서 가장 강경하게 북한에 대한 제재유지와 압박을 주장하는 태도다.

북한도 노동신문 등을 통해 일본에 대한 비판 수위를 계속 끌어올리고 있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은 ‘비록 짧은 만남이었지만, 이번 만남을 통해 정상회담 실현 가능성을 살려놓았다'는 외무성 관계자의 발언을 전하면서도 “북·일 정상회담을 향해 겨우 ‘반 걸음’정도 진전했을 뿐이며, 납치문제 해결 전망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고 인색한 평가를 내렸다.

닛케이는 당장의 큰 진전을 기대할 수 없는 이유로 “북한은 미국과의 ‘한국전쟁 종전선언 협상’을 최우선시하고 있으며, 제재유지를 강조하는 일본이 당장 (북한이 바라는)경제협력 카드를 꺼내들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