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 몰린 부산·광양港 물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중국 상하이(上海)항과 인근 양산(洋山)항의 개발로 부산항.광양항의 물류가 크게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상하이 총영사관에 의해 제기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부산.광양의 항만 인프라를 확충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상하이 총영사관은 최근 정부에 제출한 '상하이 물류 보고서'를 통해 "지금까지는 상하이항의 수심이 낮아 선적량에 한계가 있었으나 상하이 동남쪽 30㎞ 지점에 개발 중인 양산항이 개항하면 수심 문제가 해결된다"며 "이에 따라 중국에서 미주 등으로의 직항로 개설이 늘면서 부산항 등의 환적 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전망했다.

양산항은 2005년 1기 항만을 개항할 예정이며 2020년께 모두 52개의 선박 접안 시설(선석)을 갖출 계획이다. 컨테이너 처리 능력은 2천2백만TEU로 현재 부산항의 세 배 규모다.

게다가 지난 7월 컨테이너 처리량에서 이미 부산항을 추월한 기존 상하이항도 항만시설을 증설 중이다.

이 때문에 현재 처리물량 중 70%가 중국 화물인 부산항이 중국 물량 중 상당 규모를 상하이항과 양산항에 빼앗길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보고서는 "상하이 당국은 부산 등에서 환적하지 않고 양산항에서 화물을 처리하면 물류 비용이 40%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2007년 최종 완공될 푸둥(浦東)공항과 양산항의 거리가 60㎞에 불과해 시너지 효과도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따라서 "중국을 배후시장화할 수 있는 '허브 코리아'구축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특히 "상하이와 동반 발전하고 상호보완적 역할을 담당하는 윈-윈 전략의 모색도 필요하다"고 밝혀 정부의 '동북아 경제 중심'구상과는 다른 '상호 보완론'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재정경제부는 지난달 24~30일 현지 조사를 하고, 양산항이 본격 운영되는 2006년까지 부산항과 광양항에 각각 6개와 4개의 선석을 추가 건설토록 부산시 등에 지시했다.

또 부산과 광양의 항만 인프라 확충을 독려하기 위해 부산은 22만평, 광양은 59만평의 항만 배후지를 추가 확보하고 이에 대한 실행 계획을 제출해야만 해당 지역을 경제특구로 지정해 주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재경부 관계자는 "대외 홍보를 강화해 세계적인 물류 기업을 적극 유치하고, 중국처럼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공무원이나 민간인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하이=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