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멤버1987’…그날 그곳에서 故 이한열을 다시 기억한다

중앙일보

입력

8일 서울 연세대 한열공원에서 열린 고 이한열 열사의 '31주기 추모제'에서 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씨가 연단에 올라와 얘기하고 있다. 오원석 기자

8일 서울 연세대 한열공원에서 열린 고 이한열 열사의 '31주기 추모제'에서 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씨가 연단에 올라와 얘기하고 있다. 오원석 기자

8일 오후 3시 서울 연세대 ‘한열공원’. 검은색 정장을 입은 40여 명이 마련된 의자에 앉아 있었다. 이들은 31년 전인 1987년 6월 9일 전경이 쏜 최루탄에 맞아 중태에 빠졌다가 끝내 숨진 고(故) 이한열 열사를 기리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

여기에 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77)씨도 있었다. 연단에 오른 배씨는 “이 자리에 민주화 과정에서 희생된 분들의 어머니·아버지가 계시다. 오늘은 특히 죄송하고 울컥한다”며 “나는 이 세상에 없어도 이한열이는 이 자리에 있을 것이라는 것을 믿을 수 있어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해를 등진 배씨의 얼굴에 땀과 눈물이 뒤섞여 흐르고 있었다.

1987년 6월 당시 서울 외신기자였던 킴 뉴튼 교수. 오원석 기자

1987년 6월 당시 서울 외신기자였던 킴 뉴튼 교수. 오원석 기자

87년 서울 외신기자였던 킴 뉴튼(65)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도 참석했다. 킴 뉴튼 교수는 그해 7월 8일 이 열사의 영정을 든 당시 총학생회장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총학생회 사회부장이었던 배우 우현씨를 사진에 담은 인물이다. 그는 “이 열사가 최루탄에 맞은 일은 민주 항쟁의 매우 중요한 순간이었다”고 그날을 기억했다.

최루탄 피격 사건 직후의 이한열 열사의 모습. [중앙포토]

최루탄 피격 사건 직후의 이한열 열사의 모습. [중앙포토]

연세대에서 이 열사에 대한 추모 행사가 이어지고 있다. 그는 ‘민주헌법쟁취국민운동본부’가 열기로 한 ‘박종철군 고문살인 은폐조작 규탄 및 민주헌법쟁취 국민대회’를 하루 앞뒀을 때 사고를 당했다. 그 일은 이후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민주화 운동인 ‘6월 민주 항쟁’의 도화선이 됐다. 그 해 6월 29일 당시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가 직선제 개헌요구를 받아들이는 ‘6·29선언’을 하기에 이른다. 최근에는 영화 ‘1987’에서 배우 강동원씨가 이 열사로 분했다. 이 영화는 누적 관객수 700만명을 넘어섰다.

8일 추모제에 이어 9일에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추모 행사가 계획돼 있다. 9일은 이 열사가 최루탄을 맞은 31년 전 바로 그 날이다. 이날 오후 1시30분에는 ‘이한열 민주화의 길’을 걷는 행사가 있다. 이 길은 신촌로터리 근처의 이한열기념관을 시작으로 이 열사의 단골 주점 ‘페드라’, 최루탄 피격 장소 등으로 이어진다. 행사에 참여하면 지나는 장소마다 이 열사와 얽힌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같은 날 오후 4시에는 연세대 백주년기념관에서 ‘이한열문화제-1987, 세상을 바꾸다’ 문화제가 열린다. 연세대 83·86·88학번 동문 합창단과 고려대 86학번 합창단, 연세대 재학생 동아리 등 7개 팀이 공연을 선보인다.

문화제가 끝나자마자 오후 6시에는 ‘이한열 추모의 밤’ 행사가 이어진다. 참석자들이 준비된 음식을 먹으며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이다.

서울 이한열기념관에 이 열사의 맨투맨 티셔츠와 바지 등이 전시된 모습. [사진 연합뉴스]

서울 이한열기념관에 이 열사의 맨투맨 티셔츠와 바지 등이 전시된 모습. [사진 연합뉴스]

한편 이한열기념관에서는 이날부터 8월 31일까지 영화 ‘1987’ 소품과 이 열사 유물을 볼 수 있는 전시도 진행한다.

이번 추모행사를 총괄한 이경란 이한열기념관장은 “앞으로의 시대를 살아갈 사람들이 이 열사의 민주화·희생 정신을 이어 받고, 삶의 자세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조한대·오원석 기자 cho.handa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